학교비정규직 1200여명 2차 파업… 160곳 급식 차질

학교비정규직 1200여명 2차 파업… 160곳 급식 차질

입력 2013-11-30 00:00
업데이트 2013-11-30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교육청 “예산 없어 개선 힘들어”

학교 급식소 종사원들이 주축을 이루고 있는 전국학교비정규직 연대회의가 처우 개선을 요구하며 29일 곳곳에서 2차 파업을 강행해 경기, 부산, 전북, 울산, 충남 지역 상당수 학교의 급식이 차질을 빚었다.
“학교 비정규직 호봉제 도입을”
“학교 비정규직 호봉제 도입을” 2차 파업에 돌입한 전국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소속 노조원들이 2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후문에서 파업 집회를 열고 호봉제 도입 등 처우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급식이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은 학교는 5개 지역에서 160곳이나 됐다. 이날 급식 차질이 가장 많이 발생한 곳은 전북 지역이다. 전북은 765개 학교 가운데 68곳의 급식이 중단됐다. 이 때문에 10곳은 도시락 지참, 53곳은 빵과 우유 지급, 4곳은 단축수업, 1곳은 인근 식당을 이용해 학생들의 점심을 해결했다.

부산 지역은 58개 학교, 울산 지역은 21개 학교, 경기 지역은 7개 학교, 충남 지역은 6개 학교에서 급식이 차질을 빚어 학교 측이 간편식 준비와 도시락 지참 안내 등을 통해 학생들의 점심 차질을 최소화했다. 충남의 2개 학교는 교직원들이 조리에 나서 학생들에게 점심을 제공하기도 했다.

2차 파업에 참여한 조합원은 경기 132명, 울산 280명, 부산 350명, 전북 450명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들은 지역별로 상한선 없는 호봉제 실시, 연봉 외 급식비 월 13만원 추가지급, 명절 휴가비 기본급의 120% 지급, 상여금 기본급의 100% 지급, 노조 전임자 인정 등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교육청들은 노조 요구안에 무리가 있다는 입장이라 당분간 이들 간의 갈등은 계속될 전망이다. 전북교육청 관계자는 “노조의 요구안은 많은 예산이 있어야 가능해 한꺼번에 이를 모두 시행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라면서 “이 때문에 교육청들이 단계적으로 처우 개선에 나서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1차 파업이 진행된 지난 14일에는 경기와 충북 지역 84개 학교가, 15일에는 경기, 충북, 전북 등 3곳에서 128개 학교의 급식이 차질을 빚었다.

남인우 기자 niw7263@seoul.co.kr

2013-11-30 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