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생 325명을 비롯한 승객 452명과 승무원 24명 등 462명을 태운 여객선 ‘세월’호가 16일 오전 9시쯤 전남 진도군 조도면 병풍도 북쪽 20㎞ 해상에서 좌초해 침몰한 가운데 구조대원들이 승객을 안전한 장소로 대피시키고 있다. 청해진해운 소속 세월호는 인천에서 제주로 가던 중이었다. ⓒ AFPBBNews=News1
‘구명벌’ ‘세월호 침몰사고 생존자’
“구명벌(천막처럼 펴지는 둥근 형태의 구명보트) 46개 중 1개만 작동했다”
진도 인근 해상에서 침몰한 세월호가 많은 희생자를 낸 가운데 위기상황시 구명체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사고 발생 당시 전원구조라는 말이 나올 만큼 구조작업을 희망적으로 보는 시각이 많았지만 조난신고 접수 2시간 이후를 넘어서면서 급격히 절망적으로 바뀌었고 290명 실종이라는 대형 참사로 이어지고 있다.
조난신고가 실제 사고 발생시각보다 1시간 이상 늦어졌다면 구조작업도 그만큼 지체될 수밖에 없었던 만큼 사고 이후 대처가 인명피해를 키운 것 아니냐는 지적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또 생존자들은 “선내방송에서 대피하지 말고 현 위치에서 기다리라고 한 것이 탈출 기회를 막아 인명피해를 키운 것 같다”고 전했다.
결과적으로 선실 밖으로 나오려는 승객들을 선원들이 막았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승객들이 한꺼번에 선상으로 올라오면 배가 더욱 기울어 침몰이 가속된다는 반대의견도 있다.
세월호는 25명씩 탑승할 수 있는 구명벌을 46개나 갖추고 있었지만 이 가운데 1개만 펴졌다고 승객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전체 승객을 다 태우고 남을 만큼의 구명벌이 있었지만 제 역할을 못한 것이다. 이 밖에 구명조끼도 270여 개가 선미에 보관돼 있었지만 승객들의 접근이 어려워 상당수 승객들이 미처 구명조끼를 입지 못한 점도 승객들의 선실 탈출을 방해했다는 지적받고 있다.
‘진도 여객선 세월호 침몰 생존자’ 소식에 네티즌들은 “진도 여객선 세월호 침몰 생존자, 제발 더 나오기를”, “진도 여객선 세월호 침몰 생존자, 무사히 구조됐으면 좋겠다”, “진도 여객선 세월호 침몰 생존자, 기적이 일어나기를” 등의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