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 지진감시과 분석
지난 16일 전남 진도 해상에서 세월호가 침몰할 당시 ‘지진파’와 ‘수중 음파’가 모두 관측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암초에 걸리듯 외부 충격을 받았다면 지진파가, 내부 폭발이 일어났다면 수중 음파가 관측돼야 하는데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16일 오전 8시 58분께 전남 진도군 조도면 병풍도 북쪽 20km 해상에서 인천에서 제주로 향하다 사고로 침몰 중인 6천825t급 여객선 세월호에 민간선박이 동원돼 구조작업을 벌이고 있다.
독자 제공
독자 제공
기상청 지진감시과 관계자는 17일 서울신문과의 전화통화에서 “사고 지점과 가까운 전남 진도, 해남, 완도와 제주도의 한림 지진관측소 등 4곳 모두에서 사고 발생 당시 지진파를 관측하지 못했다”며 “특이한 수중 음파 역시 관측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4곳 중 가장 가까운 진도 지진관측소는 사고 지점에서 55㎞ 떨어져 있다. 천안함(1400t급)보다 5배쯤 무거운 세월호(6800t급)가 암초에 부딪혔다면 인접한 지진관측소에서 지진파가 관측됐어야 한다고 기상청은 설명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 관계자 역시 “오전에 확인해 봤지만 지진파가 잡힌 징후는 없었다”며 “육상에서 부딪힌 것이 아니라 물속에서 부딪혀 충격이 덜하다 해도 배의 무게나 여러 상황을 고려했을 때 미흡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김소구 한국지진연구소장은 “사고 당시 ‘쾅’ 소리가 들렸다는 점에서 암초나 내부 폭발을 의심할 수 있지만 그랬다면 지진파 등의 검출과 함께 선체가 날카롭게 찢어져 잔해물이 떠오르는 추가 현상이 있어야 하는데 아직까지는 발견하지 못했다”며 “잔해나 선박의 외양을 조사해야 정확한 사고 원인을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 지진파가 검출될 정도로 큰 외부 충격이나 내부 폭발 때문에 ‘쾅’ 소리가 났다면 탑승객 전원이 같은 소리를 들었어야 한다고 김 소장은 설명했다. 하지만 탑승 생존자에 따라 “‘쿵’ 소리 이후 갑자기 배가 기울었다”는 증언과 “사고 당시 ‘쾅’ 소리는 들리지 않고 크게 출렁대다가 기울어져 넘어갔다”는 증언이 엇갈리는 상황이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