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라리 이 나라를 떠나고 싶다”

“차라리 이 나라를 떠나고 싶다”

입력 2014-05-15 00:00
수정 2014-05-15 05: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단원고 희생자 이모군 어머니

“난생처음 이민 가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전에는 정부를 욕하는 사람들이 이해가 안 됐지만 지난 한 달 그들의 무능력함과 몰염치에 넌덜머리가 납니다.”

이미지 확대
세월호 참사 한 달… 목 놓아 이름 불러보지만 대답 없는 팽목항
세월호 참사 한 달… 목 놓아 이름 불러보지만 대답 없는 팽목항 세월호 침몰 사고가 난 지 한 달이 다 되어가면서 실종자 가족들의 마음은 더욱 타들어가고 있다. 14일 새벽 구조·수색 작업이 이뤄지고 있는 전남 진도 팽목항에서 실종자 가족들이 바다를 향해 아직 찾지 못한 가족의 이름을 애타게 부르고 있다.
진도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세월호 참사로 둘째 아들 이모(17·안산 단원고 2학년)군을 떠나보낸 어머니 문모(45)씨의 목소리는 차분했지만 깊이를 가늠할 수 없는 분노가 전해졌다. 지난달 23일 전남 진도 실내체육관에서 만난 문씨는 아들의 시신만이라도 찾고 싶다며 절규했다.<서울신문 4월 24일자 4면> 네 살짜리 동생의 똥 기저귀를 갈아주고, 수학여행비 33만원이 너무 비싸다며 막판까지 어머니의 눈치를 본 이군의 사연은 많은 이들의 눈시울을 적셨다.

그로부터 꼭 보름 뒤인 지난 8일 늦은 밤, 이군은 그토록 애타게 찾던 부모 곁으로 돌아왔다. 같은 반 친구와 꼭 부둥켜안은 채로. 당시 구조·수색작업이 이뤄지는 바지선에 올라 하루를 꼬박 보낸 아버지 이모(55)씨는 아들의 시신이 수습되자 “우리 효자 아들이 역시 효도하려고 (어버이날인) 오늘에야 올라왔나 보다”며 아내와 부둥켜안고 울었다.

지난 11일, 피어 보지도 못한 채 세상과 작별한 아들의 발인이 치러졌다. 문씨는 “아들의 마지막 얼굴을 정말 보고 싶었다. 그런데 엄마가 달라진 아들의 얼굴을 보고 평생 마음 아파하는 걸 (아들도) 원치 않을 거라는 주변 사람들의 얘기를 듣고는 수의를 입은 몸만 쓰다듬을 수밖에 없었다”며 말을 잇지 못했다. 평생의 후회로 남을까 봐 아내 몰래 아들 얼굴을 확인하고 온 이씨는 집으로 돌아온 뒤 며칠을 끙끙 앓았다고 했다.

문씨는 지금도 잠을 못 이루고 있다. “집으로 돌아왔지만, 밤에 TV와 전등을 켜놓지 않으면 잠을 잘 수가 없다”고 털어놓았다. 이씨도 소화제와 혈압약, 수면제 등에 의존하고 있다. 남편 직장은 물론, 문씨가 지난해 말 문을 연 건강식품 판매점도 한 달째 나가지 못하고 있다. 문씨는 “혼자 있으면 나도 모르게 주룩주룩 눈물이 흐른다”면서도 “스스로 이겨낼 수 있다고 생각해 심리 상담은 거절했다”고 말했다.

사고 첫날부터 아들의 장례를 치르기까지 한 달 동안 정부의 무능한 대처를 지켜본 그는 많은 생각을 하게 됐다고 했다. 그는 “세월호 사건을 겪으면서 정부는 우리를 안전하게 지켜주지 못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아들의 장례를 치른 지 겨우 사흘이 지난 14일. 문씨는 다시는 근처에도 가지 않으리라 다짐했던 진도 팽목항으로 내려갔다. “아들을 기다리던 긴 시간 동안 누구든 붙잡고 이야기할 사람이 절실했어요. 여전히 팽목항에 남아 있는 분들의 손이라도 잡아 줘야지요.”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14-05-15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애도기간 중 연예인들의 SNS 활동 어떻게 생각하나요?
제주항공 참사로 179명의 승객이 사망한 가운데 정부는 지난 1월 4일까지를 ‘국가애도기간’으로 지정했습니다. 해당기간에 자신의 SNS에 근황사진 등을 올린 일부 연예인들이 애도기간에 맞지 않는 경솔한 행동이라고 대중의 지탄을 받기도 했습니다. 이에 대한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애도기간에 이런 행동은 경솔하다고 생각한다.
표현의 자유고 애도를 강요하는 것은 안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