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기관 ‘초대권 폐지’ 3년 넘게 겉돌아

예술기관 ‘초대권 폐지’ 3년 넘게 겉돌아

입력 2014-08-01 00:00
수정 2014-08-01 01: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공립기관 정가 판매 23%뿐

국공립 문화예술기관의 티켓 정가판매 비율이 23%에 그치는 등 무료 초대권 관행이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010년 말 국공립 예술기관의 위상을 재정립하는 한편 공연산업 자생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무료 초대권 폐지 지침을 내렸지만, 시행 3년이 넘도록 겉돌고 있는 셈이다.
이미지 확대


31일 새정치민주연합 민병두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올 상반기까지 국공립 문화예술기관 11곳의 티켓 정가판매 비율은 23.1%에 불과했다. 국립오페라단과 국립합창단, 국립현대무용단 등 7곳은 정가 티켓보다 초대권 발행 숫자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예술의전당은 정가 티켓(7097매)보다 2배 이상 많은 1만 8720매의 무료 티켓을 발행했다.

무료 초대권 발행이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등을 통한 티켓값 할인이 공연문화 발전을 저해한다는 데 대해 문화예술계도 공감한다. 명동예술극장 관계자는 “당장 내일 공연의 객석을 채워야 하는 긴박한 상황은 이해하지만 장기적으로 무료 초대권 남발은 공연계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면서 “사람들이 제값 내고 공연 보는 것을 돈 아깝다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공연계에서는 비인기 공연은 새로운 관객층을 발굴하기 위해서라도 무료 초대권을 완전히 없애기는 어렵다고 말한다. 일각에서는 이명박 정부의 획일적인 초대권 폐지 지침이 문화예술계의 현실을 외면한 탁상행정이었다고 지적한다. 척박한 국내 순수예술 환경에서 발레 등 극히 일부를 제외하면 국악·무용 공연 등은 제값을 주고 표를 사는 관객들이 극히 적은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다. 서울예술단 관계자는 “대형 공연기획사는 프로모션에 많은 예산을 투입할 수 있지만 우리는 홍보를 위해서 초대권을 발행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국립오페라단 관계자도 “티켓 판매 수입이 전체 수익의 20%밖에 안 되는 상황에서 제작비를 지원하는 협찬사들에 초대권을 제공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은 현실에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

문체부도 이 같은 현실을 감안해 8월 중 국립예술단체협의회 회의를 통해 무료 초대권 폐지 지침 수정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문체부 관계자는 “장르별 특수성을 감안, 비인기 장르와 공연은 10~20% 범위 내에서 초대권 발행을 인정하되 어떻게 초대권을 배포했는지 엄격하게 관리하고 주기적으로 외부 공개를 하는 방향으로 지침을 수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2014-08-01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