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제노역 허재호 전 회장 소유 토지 ‘수상한’ 거래

황제노역 허재호 전 회장 소유 토지 ‘수상한’ 거래

입력 2014-09-24 00:00
업데이트 2014-09-24 14: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구례주민 “관광특구 땅 경매처분 후 차명 재매수 의혹” 허 회장 측 “구례에 개인적으로 소유한 땅 전혀 없어…사실무근”

허재호 전 대주그룹 회장이 과거 숙박시설 조성 용도로 사들인 뒤 수십억원대의 대출 담보로만 활용, 대출금을 갚지 못해 매각당한 구례 관광특구 땅을 현재도 차명으로 보유 중이라는 의혹이 제기됐다.

24일 전남 구례군에 따르면 지리산역사문화체험단지 조성 부지 7만5천㎡ 중 53%에 대한 매입을 완료했고 나머지 부지에 대한 매입을 진행 중이다.

매입 대상에는 과거 용도에 따른 개발을 하지 않았음에도 구례군이 2008년 또다시 ‘야생화타운’ 조성을 추진, 허 전 회장에 대한 특혜 논란으로 감사원 처분 및 검찰 조사까지 이뤄졌던 땅도 일부 포함돼 있다.

당시 허 전 회장의 대출금 미상환으로 땅이 경매처분되면서 국비 5억원을 지원하고 4천83㎡의 밭을 건물 건축이 가능한 대지로 지목 변경해준 야생화타운 조성은 무산됐고 소유주도 바뀌었다.

그러나 야생화타운 부지 2만7천㎡ 등 허 전 회장 명의의 땅 4만여㎡를 2010년 11월 약 13억원에 경매로 넘겨받은 김모(43)씨가 6개월 뒤 땅을 담보로 대주그룹 계열사였던 동양저축은행으로부터 16억9천만원의 대출을 받은 사실이 뒤늦게 확인되면서 허 전 회장이 대리인을 내세워 토지를 재매입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경매 당시 김씨의 주소는 대주건설이 건설해 2006년 말부터 분양했으나 부도로 공사가 지연돼 입주도 시작되지 않았던 순천의 한 아파트로 돼 있었으며 경매를 받은 직후 주소는 여수의 한 시골마을로 정정됐다. 이후 또다시 광주로 바뀌었다.

애초 숙박시설 용지였던 이 땅은 경매 과정에서 이미 녹지공원지구로 용도가 바뀌어 사실상 개인이 활용할 방법이 없는 토지였음에도 김씨가 경매를 강행한 점도 의구심을 자아내고 있다.

최근 한 구례 주민은 허 전 회장의 부동산 은닉 가능성이 크고, 번번이 개발 이행을 안 했음에도 계속 지자체 사업부지로 선정해 사실상 특혜를 제공한 구례군 역시 업무상 배임에 해당한다고 보고 국무총리실 부패척결추진단에 민원을 제기했다.

이 사건은 대검찰청을 거쳐 광주지검 특수부와 전남도 감사관실에 접수됐다.

민원인은 “현 소유자의 토지 매입 자금 출처와 전 대주그룹 계열인 동양저축은행에서 경매가보다 많은 금액을 대출한 경위를 조사하면 의혹을 밝힐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차명보유가 맞다면 공영개발토지를 사적인 대출 수단 등으로 이용하다가 대출금은 물론 국비지원금까지 경매로 날린 사람이 그 땅을 싸게 사들여 수십억원의 시세 차익을 남기는 기상천외한 ‘특혜’를 받게 되는 셈”이라며 “권력을 남용해 특정인에게 특혜를 줬던 구례군이 이를 반복하는 것 역시 명백한 불법”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허 전 회장의 측근은 “김씨는 모르는 사람이며 차명 보유 역시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며 “허 전 회장은 현재 구례에 개인적으로 소유한 토지가 없는 상태”라고 강하게 부인했다.

구례군은 “매입 대상인 김씨 소유 토지 2만여㎡는 야생화타운 논란 및 경매 시기보다 이전인 2007년 도시계획 기본구상에 이미 포함됐던 것으로 기록돼 있다. 현재 이 부지는 감정평가와 매입이 아직 이뤄지지 않았다”며 논란이 되는 만큼 신중하게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대주콘도는 1989년 구례군에서 개발한 관광특구 구례 화엄사 상가 시설지구 내 숙박시설 용도 부지 4만952㎡을 8억원에 사들인 후 콘도 등 숙박시설을 건립하지 않다가 1996년 허 전 회장 명의로 이전했다.

이후 이 땅은 10여 년간 숙박사업과는 무관하게 은행 대출 39억원과 세금 48억5천만원의 납부 유예에 필요한 공동 또는 단독 담보로 전락했고 경영 악화 및 허 전 회장의 채무 불이행으로 2010년 임의 경매처분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