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女 경제활동 6%p↑…장년층 경제활동도 늘 듯

2023년 女 경제활동 6%p↑…장년층 경제활동도 늘 듯

입력 2014-12-02 00:00
업데이트 2014-12-02 08: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용부 2013~2023 인력수급 전망…고용률 71.8%로 상승 예상

오는 2023년께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높아지면서 경력단절이 완화되고, 55세 이상 장년층의 경제활동 참가도 많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고용노동부는 2일 열린 국무회의에서 이런 예측이 담긴 ‘2013~2023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및 시사점’을 보고했다.

전망에 따르면 향후 10년간(2013∼2023년) 15세 이상 인구는 204만명, 경제활동인구는 358만명, 취업자는 322만명 각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력공급(노동력) 측면에서 봤을 때 50세 이상은 558만명 증가하지만 50세 미만은 354만명 감소해 고령사회의 단면을 보여줄 것으로 전망됐다.

또한 학령인구 감소로 고교 졸업생이 63만명에서 40만명으로 줄어 현 대학정원 56만명보다 16만명 적을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이 기간에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크게 증가(여 6.0%포인트, 남 4.1% 포인트)하면서 경력단절 현상이 완화될 것으로 분석됐다.

연령별로는 저출산 등의 영향으로 청년과 중년층은 감소하지만 55세 이상 장년층의 경제활동인구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관측됐다.

인력수요(취업자) 측면에서는, 2023년까지 취업자가 322만명 증가하면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15∼64세) 고용률이 71.8%까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산업별로는 사회복지서비스업(73만8천명), 사업지원서비스업(37만8천명), 보건업(35만5천명) 등에서 취업자가 많이 늘 것으로 전망됐다.

그러나 농업(13만8천명), 교육서비스업(5만6천명), 금융업(4만명) 등은 감소할 것으로 관측됐다.

직업별로 보면 총무사무원(8만명), 간병인(7만6천명), 경리사무원(7만5천명) 등은 취업자가 많이 증가하는 반면 곡식작물 재배원(11만7천명), 문리 및 어학강사(2만2천명), 건설 및 광업 단순종사원(1만8천명) 등은 감소할 것으로 추산됐다.

향후 성장과 고용을 견인할 수 있는 분야를 분석한 결과 창조산업(연구개발인력)은 2013∼2017년에 14만명, 정보통신(ICT)분야는 2011∼2018년에 11만명, 사회서비스업은 2013∼2017년에 75만명의 취업자가 각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신규인력 수급차를 전망해보니 향후 10년간 신규인력 수요가 공급을 초과해 신규인력 부족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분석됐다.

학력별로 고졸자는 초과수요(210만명)가 클 것으로 예상됐다. 대졸도 초과수요(30만명)가 전망됐으나 전문대와 대학원 졸업자는 초과공급(30만명)이 점쳐졌다.

직업별로는 단순노무직(70만명), 서비스직(58만명), 장치·기계조작원(24만명) 등에서 초과수요가 클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부는 이런 전망을 토대로 ▲ 인구증가 둔화에 대응한 효율적인 인력활용 ▲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교육개혁 ▲ 고용률 증가와 일자리의 질 제고 노력 병행 ▲ 양질의 인력 양성·공급 및 산업구조의 선진화·적정 규모의 외국인력 활용 등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시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