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버린 줄 오해…” 40년 만의 모녀 상봉

“나 버린 줄 오해…” 40년 만의 모녀 상봉

입력 2014-12-17 00:00
업데이트 2014-12-17 05: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살 때 생활고 생이별 이정미씨 유전자 등록 2개월 만에 찾아

딸은 어머니를 차마 부르지도 못했다. 칠순 노모는 딸을 단번에 알아보고는 부둥켜안고 통곡했다.

이미지 확대
이정미(왼쪽)씨가 16일 서울 중구 초록우산 어린이재단에서 40년 만에 생모 최숙자씨를 만나 상봉의 기쁨을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이정미(왼쪽)씨가 16일 서울 중구 초록우산 어린이재단에서 40년 만에 생모 최숙자씨를 만나 상봉의 기쁨을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노모의 뇌리 속에 네 살짜리 꼬마였던 딸은 어느새 한 아이의 엄마가 돼 있었다. 1974년 언니 정옥(당시 8세)씨와 함께 큰아버지 집에 맡겨졌다가 어머니와 헤어진 채 40년을 보낸 이정미(44·여)씨가 16일 서울 중구 초록우산어린이재단에서 애타게 찾던 모친을 다시 만났다.

당시 어머니는 “사정이 나아지면 데리러 오겠다”며 떠났다. 그러나 큰아버지마저 형편이 나빠지면서 정미씨는 서울의 한 가정에 수양딸로 보내졌다. 어린 마음에 동생이라도 조금 나은 생활을 하길 바랐던 언니는 기쁜 마음으로 정미씨를 떠나보냈다.

반면 수양딸로 들어간 집에서 버림받아 다른 집으로 보내진 정미씨의 행방은 알 도리가 없었다. 정미씨는 전남 구례에 있는 노부부 집으로 보내졌다. 양부모는 정미씨를 ‘윤정미’라는 이름으로 호적에 올리고 학교에도 보냈다.

버림받았다는 생각에 가족을 찾을 생각을 하지 않았던 정미씨는 어느 날 자신과 닮은 사람이 가족을 찾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유전자 검사를 받았다. 막상 결과는 아니었다. 하지만 이때부터 가족을 찾기로 마음먹고 경찰에 유전자를 등록했다.

어머니는 마지막 수단으로 지난 10월 어린이재단과 경찰 안내로 유전자 등록을 했다. 간절함이 통했던 걸까. 마침내 모녀는 일치하는 유전자를 찾았다는 소식을 들었다. 40년 만에 딸을 품에 안은 어머니는 “아이고 내 새끼. 미안하다. 이게 꿈이냐 생시냐”고 부르짖다가 실신했다. 딸은 “버림받았다고 오해해서 미안하다는 말을 꼭 하고 싶었다”며 울먹였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2014-12-17 1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