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들이 위험하다…40·50대 자살률 급증

아버지들이 위험하다…40·50대 자살률 급증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15-05-07 23:52
업데이트 2015-05-08 01: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형사정책硏 2013년 성별·연령별 자살 분석

# 지난달 30일 경남의 한 아파트 안방에서 50대 남성 A씨가 목을 매 숨진 채 발견됐다. 3년 전 실직한 그는 재취업을 위해 노력했지만 번번이 실패했다. 스스로 목숨을 끊은 당일에도 한 회사로부터 불합격 통보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 지난해 3월에는 사업 실패를 비관한 40대 남성 B씨가 치매를 앓던 70대 아버지와 함께 경기도 한 모텔에 투숙한 뒤 목숨을 끊었다. B씨는 “아버지를 두고 가면 힘들 테니 함께 가겠다”는 유서를 남겼다.

이미지 확대
우리나라 중장년 남성의 자살이 여성에 비해 심각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년층으로 갈수록 남성과 여성의 자살률의 격차가 두드러졌다. 7일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 따르면 2013년 한 해 우리나라에서 1만 4427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인구 10만명당 평균 자살률은 29.1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의 평균 자살률(12.1명)의 배가 넘는다.

성별로 보면 같은 기간 자살한 사람 중 여성이 4367명인 반면 남성은 1만 60명에 달했다. 인구 10만명당 여성 자살률은 17.3명, 남성은 이보다 2.3배 높은 39.8명이다. 특히 노년층으로 갈수록 자살률이 높아졌고 남성의 경우 증가세가 가팔랐다. 20대 남성은 20.9명으로 14.8명인 여성의 1.4배였다. 그러나 50대에 이르면 남성 자살률이 58명으로 여성(18명)의 3.2배가 되고 60대는 3.5배(남성 64.6명, 여성 18.4명)까지 치솟았다.

연구원은 “여성 노인도 다른 연령대에 비해 자살률이 높지만, 남성 노인은 비정상적으로 높은 자살률을 보인다”고 분석했다.

2012년 대비 자살 증감률에서는 40~50대 남성 쪽의 증가가 뚜렷했다. 남성들의 전체 자살률은 4.2% 증가했지만 40대 남성은 9.9%, 50대 남성은 8.9% 증가했다. 반면 여성 평균 자살률은 같은 기간 4.2% 감소했다. 박형민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우리사회에서 경제적 중추 역할을 하는 40~50대의 경우 조기 퇴직 위험이나 가족 부양에 대한 압박감이 커져 자살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정수 기자 tintin@seoul.co.kr
2015-05-08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