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고용> 산업수요 맞춘 구조개편 대학 최대 300억 지원

<청년고용> 산업수요 맞춘 구조개편 대학 최대 300억 지원

입력 2015-07-27 14:15
업데이트 2015-07-27 14: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공 연계 장기현장실습제 대학, 내년 10개로 확대

산업수요에 맞는 대학의 학과 개편, 정원 조정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정보기술(IT) 분야 등 산업현장에서 부족한 인재를 충분히 양성하겠다는 취지다.

정부는 27일 발표한 ‘청년 고용절벽 해소 종합대책’에서 산업수요에 맞게 구조개편을 하는 우수대학은 재정적 인센티브를 집중적으로 주는 방식으로 인력수급의 ‘미스매치’(불일치)를 해소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기존 학과의 통폐합, 학부 및 단과대 신설 등으로 학사구조 개편, 정원조정을 선도하는 대학에 평균 50억∼200억원, 최대 30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또 학과 개편, 정원 조정을 돕기 위해 세부전공별 중장기(5·10년) 인력수급 전망을 10월 말까지 대학에 제시할 계획이다.

전과, 복수전공 등 학생의 학습선택권을 보장하고 연계전공 다양화, 취업연계과정 도입 등으로 교육을 내실화하는 방안도 병행된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올 12월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PRIME) 사업의 세부 추진내용을 확정할 예정이다.

대학의 학사구조 개편, 정원조정은 정부가 학령인구 감소에 대비해 추진하는 대학구조개혁과 맥이 닿는다.

신익현 교육부 정책기획관은 브리핑에서 “이번에 담은 내용은 대학의 자율적 구조조정을 촉진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분위기를 조성한다는 데 방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대학이 앞으로 이공계 정원을 늘리면서 상대적으로 인문학이 위축될 것이라는 우려가 적지 않다.

이와 관련해 교육부는 인문학 지원을 위한 인문학 진흥방안을 동시에 추진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대학의 체질개선과 더불어 산학협력을 통한 ‘기업맞춤형 교육’을 강화하기로 했다.

우선 산업체와 대학이 채용, 직원 재교육 등을 위해 운영하는 계약학과를 활성화한다.

입학대상을 기업 임원 및 대표자까지 확대하고 채용조건형 계약학과에 한해 산업체와 대학이 동일권역(광역시·도 또는 100㎞ 이내)이 아니더라도 설치를 허용할 예정이다.

중소기업 계약학과의 경우 채용조건형은 학사과정까지 확대되고 재교육형은 우수대학 중심으로 늘어난다.

아울러 정부는 대학 3, 4학년 대상으로 전공과 연계한 장기현장실습제를 올해 5개교에서 내년에 10개교로 늘리기로 했다.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 평가에서 취업률, 산업연계 교육과정 운영실적 등 취업관련 배점도 확대할 방침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