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립 유치원 비용 61%만 지원… 규모 늘려야”

“사립 유치원 비용 61%만 지원… 규모 늘려야”

김정한 기자
입력 2015-11-12 22:42
업데이트 2015-11-12 22: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문자 부산유치원연합회장

“사립유치원 설립자 법적 지위 보장과 유치원 실정에 맞는 재무회계 규칙 제정이 시급합니다.”

이미지 확대
박문자 부산유치원연합회장
박문자 부산유치원연합회장
부산유치원연합회 박문자(55) 회장은 12일 “현행 유치원법이 사립유치원 설립자(경영자)의 투명성과 책무성 등 경영의 무한 책임을 요구하고 있음에도 개인이 투자한 사유재산에 대한 권리조차 보호받지 못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회장은 “역사가 100년 넘는 사립유치원은 사실상 우리나라 유아교육을 이끌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며 “최근 유아 수 감소와 공립유치원 신증설에 따라 문을 닫는 유치원이 느는 등 갈수록 입지가 좁아지고 있다”고 어려움을 호소했다.

또 그는 “공립유치원은 신도시나 교육 기반이 취약한 지역 등 필요한 곳에 설립해야 하며 저출산 및 지역 특성으로 유아 수가 주는 지역에까지 신증설하는 것은 막대한 국가 예산 낭비”라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박 회장은 “공립유치원을 새로 짓는 대신 영세한 사립유치원을 정부가 사들여 공립으로 전환하는 방법도 예산을 절감하고 사립유치원을 살리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공·사립유치원 지원에 대한 형평성도 꼬집었다. 그는 “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은 유아교육법에 따라 학교로 지정된 만큼 사립도 공립과 같은 규모로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공립유치원은 인건비와 운영비 등 98%를 지원하지만 사립은 61%에 그쳐 설립 유형에 따라 큰 차이가 난다는 것이다.

박 회장은 유치원 입학 제도와 관련해 “원아 모집 시 일부 지역의 경우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실제로 많은 유치원은 미달 사태를 빚고 있다”며 “원아 모집 시기, 절차 및 방법을 시·도조례로 정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교육법 일부개정(안)은 사립유치원장의 자율권을 제한하는 만큼 반대한다”고 분명하게 밝혔다.

그는 “사립유치원은 정부 공시 자료 공개, 교육부의 특정감사 등 국공립과 같은 지도 감독을 받고 있는데도 유치원 살림살이인 재무회계 규칙은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며 사립유치원 실정에 맞는 재무 회계 규칙을 제정해 줄 것을 요구했다.

부산 김정한 기자 jhkim@seoul.co.kr
2015-11-13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