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 맞아 2세 맞을 우포늪 따오기들

봄 맞아 2세 맞을 우포늪 따오기들

강원식 기자
입력 2017-03-14 22:28
업데이트 2017-03-14 23: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알 7개 산란… 한 달 뒤쯤 부화, 올해 100마리 이상 증식 전망

경남 창녕군 우포늪 인근에 있는 ‘우포 따오기복원센터’에 사육하는 따오기 부부들이 올해도 3월부터 산란을 시작해 7개의 알을 낳았다. 경남도와 따오기 복원센터는 산란이 오는 6월 초까지 이어져, 따오기 새 식구가 100마리 이상 불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경남 창녕군 우포늪의 따오기복원센터에서 지난해 태어난 따오기. 경남도와 창녕군은 천연기념물 제198호인 따오기 31쌍을 장마분산센터와 따오기복원센터에서 사육하고 있다. 서울신문 DB
경남 창녕군 우포늪의 따오기복원센터에서 지난해 태어난 따오기. 경남도와 창녕군은 천연기념물 제198호인 따오기 31쌍을 장마분산센터와 따오기복원센터에서 사육하고 있다.
서울신문 DB
경남도와 우포따오기복원센터는 14일 따오기가 올 들어 처음으로 지난 12일 오후 6시부터 7시 사이에 4개의 알을 낳은 데 이어 13일 오전 6~7시 사이에도 3개를 낳았다고 밝혔다. 따오기 가운데 올해 산란하는 따오기 부부는 모두 31쌍이다. 따오기 산란과 부화는 1쌍이 6월 초까지 평균 9개의 알을 낳고 부화율은 40% 안팎이다. 따오기 알 부화기간은 28일이다.

도와 따오기복원센터는 올해 270여 개의 따오기 알이 산란돼 이 가운데 100개 이상이 부화에 성공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에는 22쌍이 3월 10일부터 6월 4일까지 196개의 알을 낳아 이 가운데 77마리가 태어났다.

2008년 중국에서 들여온 따오기 1쌍은 우포따오기복원센터에서 복원·증식사업을 시작해 현재 171마리까지 늘어났다. 올해 말이면 따오기가 300마리까지 불어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지난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함에 따라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따오기 개방을 지난해 11월 22일부터 중단했다. 복원센터 근무 직원들도 지난해 12월 7일부터 1월 10일까지 한 달 넘게 외부 출입을 하지 않고 센터 안에서 격리생활을 했다. 환경부와 경남도, 창녕군은 방사계획을 내년 상반기로 검토한다.

창원 강원식 기자 kws@seoul.co.kr

2017-03-15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