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자 탈출 도운 고창석 교사, 그는 참사 그 자리에 있었다

제자 탈출 도운 고창석 교사, 그는 참사 그 자리에 있었다

입력 2017-05-17 16:56
업데이트 2017-05-17 16: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중수색 과정에 수습한 유해는 고 교사 유해가 유일

세월호 미수습자 9명 중 단원고 고창석 교사가 참사 1천127일 만에 돌아왔다.

그는 선체가 아닌 침몰 해역에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그의 유해는 세월호를 육상에 옮긴 후 침몰 해역을 대상으로 한 수중수색 과정에서 발견됐다.

수중수색은 세월호가 목포신항에 거치되고 4월 9일 재개됐다.

이날은 2014년 11월 11일 정부가 미수습자 9명을 남기고 수중수색 중단을 발표한 지 880일 만이었다.

세월호가 침몰한 해저 주변에는 미수습자 유실 우려에 대비해 가로 200m, 세로 160m, 높이 3m 철제 펜스가 설치되어 있다.

잠수사들은 철제 펜스 내부 3만2천㎡를 40개 일반 구역, 2개 특별구역으로 나눠 수색 중이다.

특별 구역(SSZ1, SSZ2)은 객실이 있던 선미 부분이 맞닿아 있던 해저 면이다.

그동안 수색이 이뤄지지 않아 미수습자 수습 가능성이 큰 곳이었다.

수색팀은 먼저 40개 일반 구역 가운데 30개 구역의 수색을 마치고 지난달 26일부터 특별구역 수색에 들어갔다.

잠수사들은 해저면을 손으로 더듬고 모종삽으로 진흙을 퍼내는 방식으로 세밀하게 수색을 했다.

종 방향 수색 후 횡 방향으로도 교차 수색했다.

지난 5일 수중수색에서 사람의 뼈로 추정되는 유골 1점이 발견됐다. 수중수색을 재개한 지 26일 만이었다

유전자 감식으로 12일 만인 17일 이 유골은 고 교사의 것으로 확인됐다.

17일부터는 나머지 10개 일반 구역에 대한 수중수색도 시작됐다.

현재까지 수중수색에서 고 교사 유골 외에 사람 뼈로 추정되는 유골은 더는 발견되지 않고 있다.

일반·특별 구역 수색이 끝나면 수중음파탐지기(소나)가 동원될 예정이다.

소나가 음파를 탐지하면 잠수사가 들어가 해당 구간을 수색하게 된다.

수중수색 마지막 단계 작업은 유실물이 걸려 있을 수 있는 펜스 테두리 1.5m 반경을 수색한다.

유실됐다면 펜스에 걸려 있을 가능성이 커 마지막 단계에서 유골이 수습될 가능성이 크다.

일반구역, 특별구역, 음파탐지, 펜스 테두리 수색 등 4단계 작업에 예정된 기간은 2개월로, 이제 한 달가량 남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