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 그늘…무연고 사망자 5년간 77.8%↑

1인 가구 그늘…무연고 사망자 5년간 77.8%↑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17-07-23 22:38
업데이트 2017-07-23 23: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광범위한 ‘고독사’ 통계 미집계

1인 가구 증가와 심화하는 인구 고령화로 인해 홀로 죽음을 맞는 사람이 늘고 있다.
23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무연고 사망자는 1232명이었다. 무연고 사망자는 2011년 693명에서 2013년 922명, 2015년 1245명 등으로 꾸준히 늘다가 지난해 소폭 감소했다. 2011년과 비교하면 5년 동안 77.8% 늘어났다.

지난해 무연고 사망자는 60대가 24.5%, 70대가 23.6%로 60대 이상이 절반에 가까웠다. 50대는 24.1%였다. 복지부가 집계하는 무연고 사망자는 장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유가족이 없거나 유가족이 시신 인수를 거부해 지방자치단체에서 시신을 처리해야 하는 경우다. 무연고 사망자는 대부분 혼자 사는 중·장년층과 노년층, 노숙인 등이다.

다만 무연고 사망자보다 범위가 넓은 ‘고독사’는 정확한 통계조차 집계되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고독사의 상당수는 유가족에 의해 발견되거나 시신이 유가족에게 인계되기 때문에 무연고 사망자 수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보다 앞서 고독사 문제를 겪고 있는 일본에서는 복지 공무원 외에도 우편·신문 배달원이나 전기·가스 검침원이 고독사 징후를 확인하면 곧바로 신고하도록 하고 고독사 신고나 위험군의 안부확인 전용 연락창구를 운영하고 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7-07-24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