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민원 60%는 ‘전동차 더워요’…2년 새 5만건 급증

지하철 민원 60%는 ‘전동차 더워요’…2년 새 5만건 급증

입력 2017-08-09 14:23
업데이트 2017-08-09 14: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3∼25도로 온도 조절…“더 낮춰야” 주장도

더위가 일찍 찾아온 올여름 서울 지하철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냉방 관련 민원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반기 서울 지하철에 제기된 전체 민원 5건 중 3건은 ‘덥다’는 불만이었다.

서울 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가 9일 최판술 서울시의원(국민의당·중구1)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서울교통공사에 접수된 민원은 모두 26만2천288건으로, 이 중 59%가 ‘전동차 안이 덥다’는 민원이었다.

냉방 관련 민원은 올해 상반기 18만4천232건이 접수돼 작년 같은 기간(16만6천186건)보다 10.9%(1만8천46건) 증가했다.

2015년 상반기(13만4천732건)보다는 36.7%(4만9천500건)가 늘었다.

반면 ‘춥다’는 민원은 2015년 상반기 3만1천722건에서 작년 3만1천151건, 올해 3만484건으로 줄어드는 추세다.

올해는 더위가 일찍 찾아와 하루 이용객 600만명이 넘는 지하철이 냉방 민원으로 더욱 몸살을 앓는 것으로 보인다.

올해 초여름 평균 최고기온은 최악의 폭염으로 기록된 1994년 이후 가장 높았다.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6월부터 이달 24일까지 전국의 평균 최고기온(전국 45개 주요 관측소 기준)은 29.1도였다. 이 기간 평년 최고기온(27.3도)보다 2도 가까이 높은 수준이다.

신형 전동차는 온도를 설정해놓으면 에어컨·환풍기·송풍기 등 냉방장치가 자동으로 작동한다. 객실 온도가 28도 이상일 때는 냉방 기간(매년 6∼9월)이 아니어도 냉방기가 가동된다.

반면 20∼30년 된 구형은 승무원이 온도계를 보며 수동으로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여간 까다로운 게 아니다.

현재 서울교통공사는 여름철 지하철 전동차 온도를 일반차 23∼25도, 약냉방차 24∼26도로 조절하고 있다. 그러나 승객 과밀과 차량 노후 정도에 따라 승객이 느끼는 체감 온도는 달라진다.

서울교통공사 관계자는 “애플리케이션, 문자 등 민원 제기가 편리해진 점도 ‘덥다’, ‘춥다’는 승객 민원이 증가한 원인으로 보인다”며 “적극적으로 의사를 표현하는 승객들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리면서 객실 환기 관련 민원도 급증했다.

올해 상반기 7천519건 접수돼 1년 새 35% 늘었다.

지하철에 접수되는 하루평균 민원 건수는 올해 상반기 1천499건으로 작년(1천293건)보다 12.1%(156건) 늘었다.

최판술 의원은 “전동차 내 온도 상승으로 시민 불만이 커지는데 서울교통공사의 대응이 너무 미온적”이라며 “여름철 기온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만큼 냉방 기준 온도를 낮출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