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벌이 “돌봐줄 이 없어 등원” 외벌이 “감기 옮겨 오지 말라”
“아이가 아프지만 돌봐 줄 사람이 없으니 어린이집에 보내야죠.” “감기에 걸린 아이가 등원해서 우리 아이가 감기에 옮으면 누가 책임지나요?”
최근 독감이 유행하며 어린이집·유치원에서 감기에 걸린 아이들을 둘러싼 학부모들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딱히 아이를 맡길 곳이 없는 맞벌이 부부들은 아이가 아파도 어쩔 수 없이 어린이집 등에 보내야 하지만, 외벌이 학부모들은 자신의 아이가 옮을까 전전긍긍하며 불만을 토로하는 모습이다.
서울의 한 어린이집에 3살 딸을 보내고 있는 맞벌이 교사 황모(32)씨는 최근 아이가 독감에 걸렸지만 어쩔 수 없이 등원시켰다. 양가 부모님 모두 아이를 돌봐 줄 사정이 되지 않아 부부 중 한 사람이 결근하지 않는 한 아이를 돌봐 줄 사람이 없었기 때문이다. 황씨는 “아이가 언제 나을지도 모르는데 둘 중 한 명이 무작정 휴가를 낼 수도 없어서 어쩔 수 없이 약만 먹이고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냈다”면서 “둘 중 한 사람이 최대한 빨리 퇴근해 아이를 집으로 데려오기로 했다”고 말했다.
반면 친정어머니의 도움을 받고 있는 조모(34)씨는 아픈 데도 어린이집에 아이를 등원시키는 부모들이 원망스럽다. 최근 자신의 아이가 어린이집에서 감기에 옮아 일주일 동안 감기로 고생했기 때문이다. 조씨는 “어머니가 일주일 내내 아이를 돌봐 주셨다”면서 “아이가 아프면 어린이집에 등원시키지 말아야 하는 것 아니냐”면서 불만을 나타냈다. 그러면서 “이제 겨우 등원시키고 있지만 독감이 유행이라 걱정이 태산”이라고 발을 굴렀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독감 의심환자는 1000명당 53.6명으로 전달 7.7명보다 6배 가까이 증가했다. 면역력이 떨어지는 어린이가 함께 지내야 하는 어린이집 등의 공간에서는 독감이 급속도로 번질 수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지만 맞벌이 부부들은 뾰족한 대책이 없는 상황이다. 질병관리본부는 독감에 걸린 아이들은 등원·등교를 시키지 말라는 지침을 일선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에 보냈지만 자발적인 자제 외에는 방법이 없는 상황이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독감의 경우 38도 이상 고열 등 증상 발생 이후 5일 동안은 등원을 자제해 달라는 공문을 지난해 10월 교육부 등을 통해 각 어린이집·유치원에 전달했다”면서 “하지만 독감은 신종 플루나 법정 격리대상 전염병이 아니기 때문에 강제성이 없다”고 말했다. 서울 지역의 한 어린이집 관계자는 “아이가 고열이 나거나 증상이 악화되면 부모에게 연락하지만 맞벌이의 경우 저녁에야 데려가는 경우가 많다”고 토로했다.
송인한 연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맞벌이 부부들이 아픈 아이들을 어쩔 수 없이 어린이집 등에 보내면 결국 병이 전파돼 더 많은 사회적 비용이 발생한다”면서 “이 같은 문제를 인식하고 아이가 아프면 당연히 휴가를 내는 사회적 분위기와 제도적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아이가 아프지만 돌봐 줄 사람이 없으니 어린이집에 보내야죠.” “감기에 걸린 아이가 등원해서 우리 아이가 감기에 옮으면 누가 책임지나요?”
최근 독감이 유행하며 어린이집·유치원에서 감기에 걸린 아이들을 둘러싼 학부모들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딱히 아이를 맡길 곳이 없는 맞벌이 부부들은 아이가 아파도 어쩔 수 없이 어린이집 등에 보내야 하지만, 외벌이 학부모들은 자신의 아이가 옮을까 전전긍긍하며 불만을 토로하는 모습이다.
서울의 한 어린이집에 3살 딸을 보내고 있는 맞벌이 교사 황모(32)씨는 최근 아이가 독감에 걸렸지만 어쩔 수 없이 등원시켰다. 양가 부모님 모두 아이를 돌봐 줄 사정이 되지 않아 부부 중 한 사람이 결근하지 않는 한 아이를 돌봐 줄 사람이 없었기 때문이다. 황씨는 “아이가 언제 나을지도 모르는데 둘 중 한 명이 무작정 휴가를 낼 수도 없어서 어쩔 수 없이 약만 먹이고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냈다”면서 “둘 중 한 사람이 최대한 빨리 퇴근해 아이를 집으로 데려오기로 했다”고 말했다.
반면 친정어머니의 도움을 받고 있는 조모(34)씨는 아픈 데도 어린이집에 아이를 등원시키는 부모들이 원망스럽다. 최근 자신의 아이가 어린이집에서 감기에 옮아 일주일 동안 감기로 고생했기 때문이다. 조씨는 “어머니가 일주일 내내 아이를 돌봐 주셨다”면서 “아이가 아프면 어린이집에 등원시키지 말아야 하는 것 아니냐”면서 불만을 나타냈다. 그러면서 “이제 겨우 등원시키고 있지만 독감이 유행이라 걱정이 태산”이라고 발을 굴렀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독감 의심환자는 1000명당 53.6명으로 전달 7.7명보다 6배 가까이 증가했다. 면역력이 떨어지는 어린이가 함께 지내야 하는 어린이집 등의 공간에서는 독감이 급속도로 번질 수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지만 맞벌이 부부들은 뾰족한 대책이 없는 상황이다. 질병관리본부는 독감에 걸린 아이들은 등원·등교를 시키지 말라는 지침을 일선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에 보냈지만 자발적인 자제 외에는 방법이 없는 상황이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독감의 경우 38도 이상 고열 등 증상 발생 이후 5일 동안은 등원을 자제해 달라는 공문을 지난해 10월 교육부 등을 통해 각 어린이집·유치원에 전달했다”면서 “하지만 독감은 신종 플루나 법정 격리대상 전염병이 아니기 때문에 강제성이 없다”고 말했다. 서울 지역의 한 어린이집 관계자는 “아이가 고열이 나거나 증상이 악화되면 부모에게 연락하지만 맞벌이의 경우 저녁에야 데려가는 경우가 많다”고 토로했다.
송인한 연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맞벌이 부부들이 아픈 아이들을 어쩔 수 없이 어린이집 등에 보내면 결국 병이 전파돼 더 많은 사회적 비용이 발생한다”면서 “이 같은 문제를 인식하고 아이가 아프면 당연히 휴가를 내는 사회적 분위기와 제도적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2018-01-11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