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 ‘쉰 목소리’ 조심…후두암 환자 70%가 60·70대

아버지 ‘쉰 목소리’ 조심…후두암 환자 70%가 60·70대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2-26 09:36
업데이트 2018-02-26 09: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심평원 집계 결과…“쉰 목소리 2주 지속하면 병원 찾아야”

부모님의 목소리가 ‘쉰 소리’로 변한 뒤 평소처럼 돌아오지 않는다면 가벼이 넘겨선 안 되겠다. 특히 고령의 흡연자거나 평소 술을 즐기는 경우라면 ‘후두암 경고음’일 수 있다.

26일 의료계에 따르면 후두암은 후두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으로 코·입·목 부위에 발생하는 두경부(頭頸部)암 중 가장 흔한 편이다. 후두는 말을 하고 숨을 쉬는 데 중요한 기능을 하므로 손상되면 의사소통을 방해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집계 결과 2016년 기준 국내 후두암 진료 인원은 총 7천422명이다. 성별로는 남성 94%(6천985명), 여성 5.8%(437명)로 남성이 여성보다 약 16배가량 많다.

연령대별로는 60대가 35.9%로 가장 많았다. 70대가 33.2%, 50대가 17.9% 순이다.

후두암은 조기에 발견해 적절한 치료를 하면 완치율이 80~90%에 달한다. 대표적인 증상은 목소리 변화로 초기에 알아차리기 어렵다.

특히 요즘처럼 일교차가 크고 미세먼지가 심한 날에는 목소리가 변하거나 목의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부지불식간에 넘기기 쉽다.

대개 쉰 목소리는 충분한 수분 섭취와 휴식으로 대부분 호전된다. 그러나 쉰 목소리가 2주 이상 돌아오지 않고 목 주변 불편함이 지속한다면 병원을 찾는 게 바람직하다. 목소리가 쉰 상태에서 암이 커지면 호흡곤란이 생기고 숨을 쉴 때 소리가 나기도 한다.

후두암은 다른 두경부암과 금연이 가장 최선의 예방법이다. 흡연 기간과 흡연량 모두 후두암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다. 이 때문에 고령의 흡연자일 경우 정기적인 후두 내시경 검사 등 관련 검진을 받는 게 바람직하다. 심한 음주도 후두암 발병에 영향을 미치므로 음주량도 줄이는 게 좋다.

채소, 과일, 곡물을 많이 섭취하고 비타민 A, C, E 등을 적당히 섭취하는 것도 후두암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