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 ‘부마항쟁 당시 계엄포고 위법’ 첫 판단…“위반해도 무죄”

대법 ‘부마항쟁 당시 계엄포고 위법’ 첫 판단…“위반해도 무죄”

김태이 기자
입력 2018-11-29 12:55
업데이트 2018-11-29 12: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언비어 혐의’ 재심사건서 무죄 확정…“군사상 필요 없이 공포돼 무효”

유신 독재에 반대하는 부마 민주항쟁이 진행되던 1979년 10월 18일 정권이 부산과 마산에 내렸던 계엄령과 위수령은 위법한 조치였다는 대법원의 첫 판단이 나왔다.
유신 체제 반발 부마 항쟁
유신 체제 반발 부마 항쟁 1979년 유신 독재 체제에 대한 반발로 부산과 마산 지역을 중심으로 일어난 민중항쟁인 부마항쟁 당시 부산 시내에서 장갑차가 출동해 시위대를 진압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법원 3부(주심 김재형 대법관)는 29일 부마 민주항쟁 때 유언비어를 퍼뜨린 혐의(계엄령 위반)로 기소됐다가 징역 2년을 확정받은 김모(64)씨의 재심 상고심에서 무죄를 선고한 원심판결을 확정했다.

김씨는 1979년 10월 18일 “데모 군중이 반항하면 발포하라는 명령이 내려졌다”, “이번 데모에서 총소리가 났다”는 유언비어를 유포한 혐의로 기소됐다.

김씨는 1981년 2월 육군계엄고등군법회의를 거쳐 대법원에서 징역 2년을 확정받았다. 이후 김씨는 2015년 8월 ‘부마 민주항쟁보상법’에 따라 부마 민주항쟁 관련자로 인정받자 재심을 청구했다.

재심 청구를 받아들인 부산고법은 2016년 9월 “김씨의 발언은 유언비어에 해당하지 않으며, 자신의 언동이 유언비어에 해당한다는 인식도 없었다”며 무죄를 인정했다.

부산고법은 특히 “당시 계엄 포고가 국민의 표현 자유를 제한해야 할 정도로 군사상 필요성이 있는 상태에서 공포된 것이 아니라서 위법·무효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이에 검찰은 “비상계엄의 선포나 계엄 포고령의 발령은 통치행위로서 사법심사의 대상이 될 수 없고 죄형법정주의 위반이 아니다”라며 상고했다.

하지만 대법원은 원심판결에 관련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며 김씨의 무죄를 확정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