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유용 “유도계 떠난 이유 부상 아닌 성폭행 충격 때문”

신유용 “유도계 떠난 이유 부상 아닌 성폭행 충격 때문”

오달란 기자
오달란 기자
입력 2019-01-14 15:58
수정 2019-01-14 15: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젊은빙상인연대, 문화연대, 스포츠문화연구소 등 18개 체육시민단체들이 심석희 선수의 폭로와 관련해 10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개최한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체육계 미투 대책을 마련하라’는 피켓을 들고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젊은빙상인연대, 문화연대, 스포츠문화연구소 등 18개 체육시민단체들이 심석희 선수의 폭로와 관련해 10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개최한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체육계 미투 대책을 마련하라’는 피켓을 들고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고교 시절 코치에게 수십차례 성폭행을 당했다고 폭로한 전 유도선수 신유용(24)씨가 충격 때문에 꿈을 접고 유도계를 떠나야 했다고 털어놨다.

신씨는 14일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반복된 성폭력을 밖으로 알릴 수 없었던 괴로움을 토로했다.

신씨는 고 1때인 2011년 전지훈련에서 성폭력이 시작됐고 범죄는 졸업 후인 2015년까지 계속됐다고 주장했다.

신씨는 여자 코치와 동기 등 2명에게 피해 사실을 얘기하고 증언을 부탁했지만 거절당했다고 말했다.

그는 “도와줄 만한 사람이 없다고 생각했다. 숨기는 것이 내 선수 인생을 지키는 것이라 생각했다”고 말했다.

신씨는 국가대표에 뽑혀 올림픽 등 국제대회에 나가는 것이 꿈이었기에 피해 사실을 알릴 수 없었다고 했다. “성폭행 사실을 알리면 유도 인생이 끝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신씨는 말했다.

2012년 은퇴를 한 것도 성폭력 피해에 따른 충격이 크게 작용했다.

신씨는 “주변에선 2012년 전국체전에서 무릎을 다쳐 유도계를 떠났다고 알려져 있다. 사실 재활훈련을 했고 얼마든지 복귀할 수 있었다”며 “하지만 성폭행 사건이 큰 영향을 미쳤다. 많이 수치스러웠고 소문이 퍼질 것이라 생각했다. 부상을 핑계로 고 3때 운동을 접었다”고 말했다.

신씨는 자신과 같은 피해자가 없길 바란다고 전했다. 그는 “만약 성범죄 예방 교육을 받고 피해 사실을 털어놓을 창구가 있었다면 도움을 청했을 것”이라며 “시스템이 갖춰져 있었으면 좀 더 일찍 용기를 낼 수 있었을 것”이라고 안타까워했다.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2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