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천구, G밸리 고용환경개선 일자리 생태계 구축사업 추진

금천구, G밸리 고용환경개선 일자리 생태계 구축사업 추진

김희리 기자
김희리 기자
입력 2019-02-15 09:42
수정 2019-02-15 09: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 금천구의 ‘G밸리 고용환경개선과 사물인터넷(IoT) 융합산업 일자리 생태계 조성사업’이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2019년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에 선정됐다.

15일 금천구에 따르면 이번 G밸리 일자리 생태계 조성사업은 G밸리 노동시장 권역을 공유하고 있는 금천구와 구로구가 손잡고 공동으로 추진하는 사업이다. 근로시간이나 임금수준 등 열악한 근로여건을 진단해 맞춤형 지원을 펼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이를 위해 근로시간 및 고용 컨설팅, G밸리 특화 IoT융합산업 연구개발(R&D) 컨설팅, 관련 인재 수요조사를 통한 훈련과정 개발 및 선도기업 발굴, 일자리 창출 공유 플랫폼 운영, 산업 선도 우수기업 발굴 및 확산 등의 사업을 추진해나간다는 방침이다.

한편 고용노동부의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산업’은 지자체가 관내 고용문제 해결을 위해 관련 비영리기관 등과 협력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고용촉진 및 교육훈련, 취업연계 서비스 등을 시행하도록 하는 공모사업이다. 금천구는 이번 공모사업 선정으로 국비 2억 169만원을 확보하게 됐다.

유남성 일자리창출과장은 “G밸리 입주 기업들의 근로여건 개선과 일자리 창출의 선순환체계가 구축돼 경쟁력이 강화되길 기대한다”면서 “지역 중심의 인력 양성, 고용환경 개선 등 기업 지원을 통해 지역특화형 일자리 창출의 기반을 굳건히 다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