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21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1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에 따르면 ‘신혼집은 남자가 마련해야 한다’는 견해에 미혼 남성 1140명 중 70.2%(전혀 찬성하지 않는다 15.5%+별로 찬성하지 않는다 54.7%)가 반대했는데, 미혼 여성은 1324명 가운데 72.3%(전혀 찬성하지 않는다 16.3%+별로 찬성하지 않는다 56.0%)나 동의하지 않아 남성보다 더 강한 반대 의견을 피력했다.
특히 ‘남자가 신혼집을 마련하는 것에 전적으로 찬성한다’는 의견은 남성 3.8%, 여성 4.3%에 그쳐 신혼집 마련을 오롯이 남성만의 책임으로 보는 시각이 더는 유효하지 않음이 명확히 드러났다.
이런 경향은 연령이 낮을수록 더 두드러졌다. 20~24세 미혼 남녀 모두 20.1%가 ‘전혀 찬성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반면, 30~34세 남성은 14.0%가, 같은 연령대 여성은 14.7%가 이렇게 강한 반대 의견을 드러냈다.
이에 대해 연구진은 “부부관계에서 전통적인 성별 역할을 수용하지 않는 추세로 해석할 수도 있겠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매우 심각한 수준으로 높아진 주거 부담을 어느 한 편이 전적으로 책임지는 것이 더는 현실적이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같은 조사에서 20~44세 미혼 남성의 가장 많은 33.7%가 신혼집 마련에 대한 국가 정책이 가장 절실하다고 꼽을 정도로 청년층에게 주거 문제는 결혼의 큰 장애 요인이다.
하지만 기존의 결혼 가치관을 뒤엎은 이런 새로운 시각도 취업 이후에는 다시 전통적 가치관으로 회귀하는 듯한 양상이 나타났다. 남녀 모두 취업을 한 뒤에는 신혼집 마련을 남성의 책임으로 보는 경향이 상대적으로 강하게 나타났다.
취업한 남녀만을 조사했을 때 ‘신혼집은 남자가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 남성 32.4%, 여성 29.1%로 나타났다. ‘남성이 신혼집을 마련하는 데 전혀 찬성하지 않는다’에 대한 동의 수준 또한 취업 여성(14.4%)이 비취업 여성(20.2%)보다 낮았다.
연구진은 ”주거 마련에 대한 태도가 부부의 성역할에 대한 가치관 수용, 주거에 대한 기대 수준, 부모로부터 기대할 수 있는 경제적 지원, 배우자에 대한 기대, 자신의 경제력 등 매우 다양한 요소들의 의해 복잡하게 영향을 받고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