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39주년] “광주 진실 밝혀두려고 비장한 각오로 기록”

[5·18 39주년] “광주 진실 밝혀두려고 비장한 각오로 기록”

최치봉 기자
입력 2019-05-13 23:32
업데이트 2019-05-14 02: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석무 이사장 인터뷰

항쟁 상황 등 8개 소주제별 꼼꼼히 정리
“당시에 발각됐으면 죽음 면치 못 했을 것”

“신군부에 의해 죽임을 당할 수도 있다는 생각에 죽기 전 광주의 진실을 밝혀두고자 비장한 각오로 기록했습니다.”

13일 5·18 항쟁 10일간의 생생한 자필 기록물을 공개한 박석무(77·당시 광주 대동고 교사) 다산연구소 이사장은 “당시 산 자로서의 진실을 후대에 전하기 위한 의무감 같은 것이 머릿속을 짓눌러 극심한 고통에 시달렸다”며 “당시 이 글이 발각됐더라면 죽음을 면치 못했을 것”이라며 가슴을 쓸어내렸다.

그는 1장 머리말을 통해 당시 ‘사태’나 ‘폭동’으로 표현된 5·18을 반민주·반민족·반역사적 행위에 대해 정면으로 저항한 ‘의거’로 단정했다. 이어 2~8장을 통해 5·18을 황산벌 전투, 동학혁명, 한일 의병투쟁, 3·1운동, 광주학생독립운동, 4·19혁명 등 매번 패배했지만 의로운 투쟁의 연장으로 바라보며 전라도를 설명했다.

박 이사장은 5·18항쟁 뒤인 1980년 6월 5일까지 광주에서 은신하다가 당국에 잡히면 죽음을 맞을 수밖에 없겠다고 판단한 나머지 서울로 피신했다. 이어 같은 달 14~15일 새로운 은신처에서 자신이 겪었던 5·18에 국내외 언론보도 내용 등을 보태 ‘5·18 광주 의거-시민항쟁의 배경과 전개 과정’이란 글을 마무리했다. 국회의원 시절 공개도 검토했으나 정치적 논란을 우려해 지금껏 보관 중이다. 곧 출범하는 5·18진상규명조사위에도 제공했다. 박 이사장은 1980년 12월 5·18과 관련해 투옥됐다가 이듬해 3월 풀려난 뒤 1988년 평화민주당에 입당해 13~14대 의원을 지냈다.

광주 최치봉 기자 cbchoi@seoul.co.kr

2019-05-14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