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勞勞 갈등’ 불거진 르노삼성 전면파업

‘勞勞 갈등’ 불거진 르노삼성 전면파업

백민경 기자
백민경, 김정한 기자
입력 2019-06-06 17:40
업데이트 2019-06-07 02: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임단협 잠정안 부결 뒤 집행부 초강수…일부 조합원 파업 불참하고 휴일 특근

“수출 물량 확보 시급… 주간 1교대 검토”
이미지 확대
부산 강서구에 있는 르노삼성 부산공장의 모습. 연합뉴스
부산 강서구에 있는 르노삼성 부산공장의 모습.
연합뉴스
1년여를 끌어온 르노삼성차 노사분규가 ‘극한대립’을 이어 가며 장기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전날 전면파업에 들어간 노조는 이틀째인 6일에도 파업을 이어 갔다. 하지만 조합원 상당수가 파업을 거부하고 조업에 참여하면서 ‘노노(勞勞) 갈등’으로 번지는 양상이다.

노조 집행부는 이날 부산 강서구 르노 삼성자동차 부산공장 정문 옆에 설치한 천막 2동에서 전날부터 농성을 벌였지만, 현충일 휴일이어서 대규모 집회 투쟁 등의 행위는 없었다. 주재정 수석 부위원장은 “기본금 동결 등 노동조합의 자존심을 버려 가면서 협상에 응했는데 부결이 돼 아쉽다”며 “부결 원인에 대해서는 사측이 더 잘 알고 있는 만큼 해결책을 가져오지 않으면 파업이 장기화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날 공장 엔진 라인에는 휴일임에도 조합원 60여명이 출근해 특근을 했다. 사측은 7일부터 파업불참 조합원들로 공장을 가동하는 한편 주간 1교대 운영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 당장 실무협상 날짜가 잡히진 않았지만 파업 과정이더라도 노조와 대화의 문을 열어 두고 재협상을 진전시키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겠다는 입장이다.

회사 관계자는 “오늘 공식 휴무일이지만 가뜩이나 오랜 파업으로 생산 물량에 차질이 빚어진 만큼 엔진 담당 직원들이 자발적으로 나와 조업을 하고 있다”며 “전날 부산공장 직원 절반 이상이 공장을 정상 가동시켰다”고 말했다. 생산 속도는 떨어져도 조업은 계속된다는 것이다. 이어 “노조 집행부의 파업 지침을 거부할 만큼 노조원 사이의 반목도 이어지고 있다”면서 “결국 회사는 신차 배정의 불투명과 노사분규에 이어 노노 갈등까지 겹쳐 안팎으로 힘든 상황에 처했다”고 토로했다.

앞서 르노삼성차 노조는 1년 전부터 입단협 협상을 시작했으나 타결점을 찾지 못해 지난해 하반기부터 부분파업을 거듭하면서 협상을 계속해 왔다. 지난달 16일 임단협 잠정합의안을 도출했으나 전체 노조원 찬반 투표에서 51.8%의 반대로 부결시켰다. 대치를 거듭하다 지난 3일부터 실무급 대표 3명으로 재협상 일정과 안건 등을 놓고 축소 교섭을 벌였으나 끝내 타결점을 찾지 못하다 노조가 지난 5일 전면파업을 선언했다. 회사 관계자는 “르노그룹은 글로벌 공장 가운데 철저하게 생산성을 따져 신차 위탁생산 물량을 배정할 예정”이라며 “내년 이후 생산 물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할 신차 XM3 유럽 수출용 물량 확보도 미지수 상태”라고 우려했다.

서울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부산 김정한 기자 jhkim@seoul.co.kr
2019-06-07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