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 맞아 초등학생 호칭 수업 늘어
‘도련님’ ‘처남’ 등 성차별 용어 의견 나눠고학년은 영어와 비교하면서 배우기도
교사 “성평등 시각 갖추도록 수업 준비”


경기도의 한 초등학교에서 5학년 수업을 맡고 있는 김모 교사는 추석 연휴를 앞두고 학생들에게 성평등적 관점이 반영된 호칭이 적힌 손바닥 크기의 유인물을 나눠 줬다. 학생들이 1학기 때 ‘새말사전’을 직접 만들며 ‘도련님’, ‘처남’ 등 성차별적 요소가 있는 호칭을 바꾼 것을 정리한 것이다. 김 교사는 “어떤 호칭이 옳다 그르다고 단정하기 전에 여성 보호자와 남성 보호자에 따른 친척들의 명칭을 비교하게 한다”면서 “아이들 스스로 차이를 발견하고 차별이 잘못됐다, 평등하게 바꿔쓰자는 등 의견을 낸다”고 설명했다.
성평등 호칭 수업은 교과서나 정규 교과과정에 포함돼 있지는 않다. 가족의 개념을 배우는 1~2학년 수업 중 교사가 시간을 할애하거나 명절을 맞아 1~2시간 정도 자율적으로 진행한다. 인천의 한 초등학교에서 1학년 담임을 맡은 양모 교사도 지난 설 연휴 전에 ‘성 평등 호칭’ 수업을 진행했다. 칠판에 ‘시댁’과 ‘처가’를 적고 ‘댁’과 ‘가’에 담긴 차이를 고민해 보게 하는 방식이었다.
아이들은 “왜 외할머니에만 ‘외’가 붙나요”, “‘님’ 자가 붙은 친척은 왜 아버지 쪽에 더 많은가요” 등의 질문을 던졌다. 양 교사는 “호칭이 한쪽 편만 높여 준다고 이야기하거나 수업 내용을 부모님과 공유하는 아이들이 많다”면서 “학부모들로부터 ‘다양한 관점을 갖게 도와줬다’는 반응을 받기도 한다”고 전했다.
고학년(4~6학년)은 영어와 비교하며 배우기도 한다. 예컨대 조부모를 가리키는 ‘grand parents’를 배우면서 우리말로 통일할 수 있는 호칭을 정해 보는 방식이다. 성평등 호칭 목록을 냉장고에 붙인 뒤 인증 사진을 내기도 하고 직접 부모 각각의 가계도를 그려서 같은 위치에 있지만 남녀에 따라 호칭이 다르다는 점을 찾아 표시한다.
경기도의 안모 교사는 “호칭은 사고를 형성하는 큰 역할을 한다”면서 “어른들의 용어를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미리 성평등 시각을 갖도록 돕기 위해 수업을 준비한다”고 했다.
이상화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대외협력본부장은 “학교 교육과 미디어를 통해 재생산될 수 있는 성차별적 관점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갖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면서 “아이들에게 영향을 주는 어른들을 대상으로도 성평등 호칭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지예 기자 jiye@seoul.co.kr
2019-09-12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