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소멸, 거점지역 중심 컴팩트 개발로 막는다

지방소멸, 거점지역 중심 컴팩트 개발로 막는다

이천열 기자
이천열 기자
입력 2019-09-18 16:26
업데이트 2019-09-18 16: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국 65세 이상 고령인구 38.4%, 85세 이상 초고령인구 6%’

18일 통계청에 따르면 28년 후인 2047년 대한민국 장래인구를 이 같이 예측했다.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의 은퇴 행렬이 한참 지난 후에는 도시와 농어촌을 가리지 않고 인구 감소가 급격히 이뤄지고, 특히 읍·면 단위의 ‘지방소멸’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28년 후 인구성장률은 전국 모든 시·도가 마이너스로 돌아서지만 강원·경상·전라 지역의 인구 자연증가율 감소 추세는 가파르다. 전남(-1.32%), 경북(-1.30%), 강원(-1.25%) 순이다. 태어나는 사람보다 사망자수가 많다는 뜻이다. 고령인구도 전남(46.8%), 경북(45.4%), 강원(45.0%) 등에 전국 평균이 38.4%로 2017년 13.8%보다 3배 가까이 급증한다. 동시에 85세 이상 초고령인구 비율도 늘어나 전남과 경북이 각각 9.5%에 이를 전망이다. 반면 경제활동인구(25~49세)는 2017년 38%(1950만명)에서 2047년 23.6%(1157만명)로 급감한다.

이 상황에서 지난해 한국고용정보원은 30년 안에 228개 시군구 중 소멸위험지역이 89개(39%)에 이른다고 발표했다. 읍면동은 3463개 중 43.4%인 1503곳에 달해 농어촌일수록 위험이 심했다.

정부는 국민생활 최소수준 공공·생활서비스 제공,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확대, 자치단체간 행정서비스 공동 제공, 주민 주도 인구문제 해결과 함께 거점지역 중심의 컴팩트 개발로 지방소멸을 늦추거나 막을 방침이나 걸음마 단계다. 충남 청양군은 1964년 10만 7228명이던 인구가 지금은 3만 1000명 정도로 급감하자 읍·면 소재지를 개발해 인구를 집중시키는 전략을 펴고 있다. 시가지 정비와 커뮤니티센터 신설 등 생활 인프라를 갖추면 인구가 유입될 것이라눈 구상이다. 청양은 연간 100여명이 태어나고 400여명이 고령화로 자연사해 인구 3만명 지키기도 버거운 실정이다. 김돈곤 군수는 “생활 인프라 구축으로 인구 유입을 시도하고 있지만 일자리가 없어 한계가 있다”고 했다.

청양 이천열 기자 sky@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