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년대 노동운동, 전태일 외에 김경숙도 있었다

70년대 노동운동, 전태일 외에 김경숙도 있었다

홍인기 기자
홍인기 기자
입력 2019-10-30 22:18
수정 2019-10-31 01: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여성노동자회, 김 열사 심포지엄 개최…“40주기 맞은 그의 의미와 역할 알려야”

“노동하는 것을 부끄럽게 생각하지 마라.”

1979년 YH무역의 부당한 폐업 조치에 항의하다 경찰의 진압 과정에서 숨진 김경숙 열사는 일기장에 이런 문구를 적어 뒀다. 한국 노동운동사에서 대표적인 여성 운동가로 꼽히는 김 열사를 재조명하는 심포지엄이 30일 서울 마포구 청년문화공간 주(JU)에서 열렸다.

한국여성노동자회가 주최한 이번 행사는 1970년대 여성노동자들의 기억을 역사로 기록하자는 취지로 개최됐다.

1979년 당시 22살이었던 김 열사는 YH무역 노동조합 조직차장을 맡아 회사의 폐업 조치에 맞선 투쟁을 주도한 인물이다. 가발제조업체인 YH무역이 1979년 8월 2차 폐업을 공고하자 노조원들은 회사 정상화와 생존권 보장을 요구하면서 신민당 당사에서 농성을 벌였다.

경찰은 농성 진압과정에서 무차별 폭력을 행사했고, 여성 노동자 172명을 강제 연행했다. 사건 직후 폭력 진압과 강제 연행에 반대하는 시위가 전국에서 일어났다.

심포지엄에 참석한 신경아 한림대 사회학과 교수는 “최순영 전 YH 지부장의 말처럼 1970년 노동운동은 전태일에서 시작해 김경숙으로 막을 내렸다”고 평가했다.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은 “김 열사를 ‘한 떨기 백합꽃’이나 ‘가녀린 여공’으로만 기억하는 가부장제 질서를 넘어 그를 돌아봐야 한다”고 말했다. 배진경 한국여성노동자회 대표는 “1970년대 여성노동자들의 활동이 소수의 기억을 넘어 보편적인 역사에 올랐으면 한다”며 “저평가돼 온 김 열사와 같은 여성노동자들의 투쟁을 제대로 알리고 싶다”고 말했다. 정현백 성균관대 명예교수도 “올해 김 열사의 40주기를 맞이해 우리가 그를 잘 기억하고 있는지 스스로 반성하게 된다”며 “그의 죽음의 의미와 당시 역할을 좀더 적극적으로 알려 기억을 넘어 역사가 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19-10-31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