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총각 만나봐요” 문경시 홍보에…베트남유학생들 ‘분노’

“농촌총각 만나봐요” 문경시 홍보에…베트남유학생들 ‘분노’

김유민 기자
김유민 기자
입력 2021-06-05 09:32
업데이트 2021-06-05 09: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문경시 ‘농촌 총각 장가보내기’ 사업
“명백한 성차별이자 인종차별” 반발
“농촌의 출산도구로 여긴다” 모욕감

“농촌총각 장가보내기 사업 폐지”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페이스북
“농촌총각 장가보내기 사업 폐지”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페이스북
「지속적인 인구감소와 고령화에 적극 대응하고자 혼인 연령을 놓친 농촌 총각과 베트남 유학생의 자연스런 만남을 통해 농촌 총각 장가보내기를 추진코자 하오니 많은 협조를 바란다.」

경북 문경시가 농촌 총각과 베트남 유학생의 만남을 주선하는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보낸 협조문 내용은 이주여성들을 분노하게 했다.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는 “그 자체로 이주여성에 대한 성차별, 인종차별”이라며 “상업적 국제결혼의 문제를 관리 감독해야 할 지방자치단체가 그 역할을 방기하고, 오히려 조장하고 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문경시는 최근 ‘인구증가를 위한 농촌 총각 장가보내기 추진 협조문’을 행정사합동사무소로 보냈고, 지난 4월 SNS에서 문경시가 발행한 국제결혼 관련 홍보물을 발견한 이주여성인권센터는 지난달 28일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냈다. 공익인권법재단 등 64개 단체와 개인 143명이 서면으로 뜻을 함께했다.

베트남유학생은 “양질의 교육을 받기 위해 유학 비자를 받고 한국에 머물고 있는데, 결혼 상대를 찾기 위해 온 것으로 간주하고 사업 추진 대상에 포함시킨 것은 너무도 모욕적이다”라며 분노했다. 그러면서 “아무 남자하고 결혼할 수 있는, 농촌의 출산도구쯤으로 여기는 성상품화 사업이자 명백한 인종 차별”이라고 지적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공익인권법재단 공감 백소윤 변호사는 진정 내용을 요약해 발표했으며 진정인과 대표 단체가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했다. 베트남 유학생들은 문경시장의 사과와 해당 사업의 추진 과정 조사, 문경시 공무원들에 대한 인종차별방지 교육을 요구했다. 논란이 이어지자 문경시는 “해당 사업을 중단하고 국가인권위 절차에 따라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김유민 기자 planet@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