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접종은 부작용 더 심하다는데”…접종 이탈 0.6%

“2차 접종은 부작용 더 심하다는데”…접종 이탈 0.6%

이보희 기자
입력 2021-10-03 07:25
업데이트 2021-10-03 07: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 CDC “2차 부작용 더 강한 것은 정상적 면역 반응”
전문가들 “접종 포기보단 의사와 상담 후 판단해야”

이미지 확대
28일 오전 서울 마포구민체육센터에 마련된 코로나19 예방접종센터에서 한 시민이 백신 접종을 하고 있다. (기사와 직접적 관련 없음) 2021.9.28 연합뉴스
28일 오전 서울 마포구민체육센터에 마련된 코로나19 예방접종센터에서 한 시민이 백신 접종을 하고 있다. (기사와 직접적 관련 없음) 2021.9.28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2차 접종을 포기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1차 접종 이후 크고 작은 부작용을 경험했거나, 2차 접종 부작용 사례를 전해 듣고 추가 접종을 않는 것. 그러나 2차 접종 시 부작용이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것은 정상적인 면역 반응이다.

3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 9월25일 기준 1차 접종자의 0.6%가 정해진 접종 기간 내 2차 접종을 받지 않았다. 이 수치에는 접종 일정 등을 잘못 알아 2차 접종을 받지 못한 경우도 포함됐다.

2차 접종 이후 더 강한 이상반응과 부작용을 느꼈다는 사례가 많이 들려오는데,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도 “2차 접종 후에는 1차 접종 후 경험했던 것보다 더 강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고 안내하고 있다.

청와대 국민청원에는 백신 접종 후 가족이 사망했다는 사례가 잇따라 올라오고 있다. 지난 9월28일 올라온 “화이자 백신 2차 후 남편 사망”이라는 제목의 청원에서 청원인은 “2차 접종 다음날 남편이 사망했다”고 호소했다.

1차 접종 후 자신이 부작용을 겪었거나 2차 접종 부작용 사례를 전해 들어 2차 접종을 포기하거나 망설이는 경우도 있었다.

서울의 한 병원 관계자는 “최근 1차 접종 후 2차 접종을 안 오는 경우가 조금 늘었다”고 전했다. 이어 “백신 접종 이후 두드러기 등으로 부작용 여부를 진찰하러 오는 경우도 간혹 있다”고 덧붙였다.

미국 CDC는 1차 접종보다 2차 접종 때 부작용이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것에 대해 “신체가 면역력을 생성하고 있다는 정상적인 신호”라며 “백신 제공자나 의사가 접종하지 말라고 지시하지 않는 한 1차 접종 후 부작용이 있더라도 2차 접종을 받아야 한다”고 권고하고 있다.

송준영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화이자나 모더나 같은) mRNA(메신저 리보핵산) 백신은 1차 접종 때도 면역이 나타나지만 2차 접종 때 면역 증강 효과가 강하게 나타나면서 염증 반응도 강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도 “1차 접종 후 중증 부작용이 발생하면 똑같은 백신을 맞지 않는 게 좋지만 발열, 근육통, 설사, 발진 등의 증상에는 2차 접종을 해도 괜찮다”고 조언했다.

이어 부작용을 겪었을 경우 “2차 백신접종 여부를 의사와 상담한 후 판단할 필요가 있다”며 “중증 부작용이 발생해도 초기에는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으니 대형병원에 방문해 적극적으로 치료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이보희 기자 boh2@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