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원인은 다름 아닌 ‘양육, 교육비 부담’때문
한국 부부들이 자녀출산을 망설이는 가장 큰 이유는 ‘양육과 교육비 부담’ 때문인 것으로 조사됐다.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ICL) 제공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ICL) 제공
18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의 ‘부모와의 동거 여부와 세대 간 자원 이전’ 보고서에 따르면 부모와 함께 사는 19~49세 성인은 전체의 29.9%다. 비혼인 경우 64.1%가 부모와 함께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와의 동거율은 남성이 33.6%로 여성(26%)보다 높았다. 연령별로 보면 가장 연령이 낮은 19~24세의 부모 동거율이 75.5%로 가장 높았고, 25~29세 48.5%, 30~34세 22% 순이었다. 이 비율은 35세부터 급격히 떨어져 35~39세의 10.6%, 40~44세 8.8%, 45~49세의 9.8%가 부모와 함께 살았다. 30대 초반까지는 부모와 거주하되, 이후에는 결혼 등으로 독립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최선영 보사연 부연구위원은 “성인이 되면 자연스럽게 부모 집을 떠나는 것이 규범인 사회와 달리, 한국 사회는 결혼하기 전까지 부모와 함께 사는 것을 당연하게 여겨왔다”며 “19~49세 비혼자의 64.1%가 부모와 함께 사는 것은 이런 문화적 특성이 지속되고 있다고 해석할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비혼자 중 부모와 함께 사는 사람의 비율은 비취업자에게서 더 높게 나타났다. 이에 대해 최 부연구위원은 “비혼 성인의 높은 부모 동거율에 경제적·사회문화적 제약에 따른 비자발적인 동거도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해석했다.
부모로부터의 독립하더라도 경제적 지원은 계속됐다. 64.7%가 지난 1년간 비동거 부모에게 경제적 지원을 받은 적이 있다고 답했다. 특이한 점은 경제적으로 자립한 기혼자가 비혼자보다 부모로부터 더 많은 도움을 받았다는 것이다. 기혼자의 67.5%, 비혼자의 55.5%가 지난 1년간 부모에게 경제적 지원을 받은 적이 있었다. 대학에 재학 중인 자녀는 89.4%가 부모에게 지원을 받는다고 응답했다. 지원 규모는 30만~70만원 미만이 21.2%, 70만원 이상이 55.7%를 차지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