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돌가마 1기와 진흙가마 5기, 건물지, 공방지 등이 추가로 확인
우리나라 초기청자 생산의 메카임이 확인된 고창 반암리 청자요지를 국가 사적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목소리 높아
전북 고창 반암리 청자요지
고창 반암리 청자요지에 ‘아파트형 가마터’가 발굴됐다(고창군 제공)
고창군은 초기청자 가마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남쪽과 서쪽 구역을 중심으로 2차 발굴조사를 진행한 결과 새로운 벽돌가마 1기와 진흙가마 5기, 건물지, 공방지 등이 추가로 확인됐다고 19일 밝혔다.
고창 반암리 청자요지는 지난해 1차 발굴조사를 통해 벽돌가마(전축요) 1기, 진흙가마(토축요) 4기, 건물지 2동 등이 확인됐다. 유적은 10세기 후반부터 운영되어 벽돌가마에서 진흙가마로 변화되는 과정이 층위별로 잘 나타나고 대형건물지가 확인되는 등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전라북도 기념물(2022년1월14일)로 지정됐다.
우리나라에서 벽돌가마는 전국적으로 1기만이 확인됐으나, 고창 반암리 청자요지에는 벽돌가마가 최소 2기 이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벽돌가마의 상층에는 3호 진흙가마가 위치하고 그 위로 4호 진흙가마가 들어서 있다. 이러한 중첩양상은 다른 유적에서 찾아보기 힘든 사례로, 고창 반암리 청자요지는 ‘아파트형 가마터’로도 불리고 있다.
전북 고창 반암리 청자요지 진흙가마
학술자문회의에 참석한 이종민 충북대교수(문화재청 문화재위원)는 “우리나라 초기청자의 지방확산 및 기술이전을 알 수 있는 의미와 함께 벽돌가마(전축요)에서 진흙가마(토축요)로 이행하는 과정을 잘 보여준다”며 “학술적 가치가 높아 국가 사적으로 지정해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심덕섭 고창군수는 “가장 이른 시기의 청자를 생산한 벽돌가마와 진흙가마를 비롯해 공방지 및 특수한 건물지 등 복합시설이 함께 확인돼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며 “유적 보존과 함께 국가지정문화재인 사적 승격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