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파출소 경찰관 인터뷰
근무 아닌데도 속보 보고 출동
지난해 축제 때 기동대 3개 투입
올해 당연히 사람 많을 것 예상
시스템 부재 아닌 작동 안 된 것
책임 떠민 경찰 지휘부에 배신감
다시 거리로 나온 촛불
이태원 압사 참사 국가애도기간의 마지막 날이었던 지난 5일 서울 중구 시청역 일대에서 진보 시민단체 주최로 ‘이태원 참사 희생자 추모 시민촛불’ 모임이 열리고 있다. 참가자들은 이태원 참사 희생자를 추모하고 참사 원인 분석과 책임 규명, 책임자 처벌, 개선 대책 마련 등을 요구하며 참사에 대한 정부의 책임을 강조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참사 당일 근무 당번이 아니었던 A씨는 뉴스 속보를 보고 바로 이태원으로 향했다. 이미 소방당국에 참사 첫 신고가 접수된 지 1시간이 훌쩍 지난 오후 11시 40분이었지만 이태원파출소뿐 아니라 용산경찰서 전 직원에게 비상 출동 명령이 내려지기 전이었다.
A씨가 현장에 도착했을 땐 이미 희생자들이 이태원역 거리 곳곳에 쓰러져 있었다. 희생자가 너무 많아 덮을 천이 부족했다. A씨와 다른 경찰관들은 파출소에서 직원들이 휴식을 취할 때 사용하던 하늘색 담요를 모두 가지고 나와 시신을 덮었다. 그때까지도 이태원역 일대는 귀가하지 않은 인파로 북적이고 있었다. 경찰이 출입통제선을 치고 사람들을 통제했지만 참사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 사람들에게는 들리지 않았다. A씨는 운영 중이던 술집들을 돌며 영업 중단을 요청했다.
A씨는 “몇 번의 핼러윈축제를 거치며 올해 인파가 많을 것이란 걸 알고 있었고, 당연히 3개 기동대가 투입됐던 지난해만큼 기동대가 지원될 줄 알았다”며 “올해 기동대 지원이 안 된다는 소식을 듣고 깜짝 놀랐다”고 말했다.
당시 이태원파출소장이 서울경찰청 측에 핼러윈축제를 대비하기 위한 기동대를 요청했지만 집회와 시위가 많아 지방에서까지 기동대가 올라올 정도로 인력이 부족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A씨는 “이태원 참사는 시스템이 없어서 발생한 것이 아니라 ‘있던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서 발생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한 번이라도 핼러윈축제를 더 경험했던 고참으로서 ‘내가 더 강하게 기동대를 요청했어야 하나’, ‘내가 뭘 했어야 막을 수 있었을까’ 하는 죄책감이 머리에서 떠나질 않는다”고 털어놨다.
참사 당일 오후 6시 34분부터 11건의 압사 관련 112 신고 중 출동하지 않았다고 기록된 7건에 대해 A씨는 현장 경찰관들이 아예 현장에 나가지 않고 종결한 건 아니라고 밝혔다. A씨는 “참사 전 총 79건의 112 신고가 파출소에 떨어져 파출소 경찰관들이 한 번 현장에 나가면 그 뒤로 들어오는 비슷한 신고 건은 동일 건으로 묶어 처리하고 있었다”며 “미출동으로 기록된 신고 건에 대해서도 신고자가 ‘현장을 벗어났다’는 말에 내부에서 종결한 것일 뿐 현장에 나간 경찰관들은 신고가 들어온 지역을 돌며 계속 인파 정리를 했다”고 말했다.
A씨는 윤희근 경찰청장이 지난 1일 “112 신고를 처리하는 현장 대응이 미흡했다”고 한 발언에 대해 배신감을 느꼈다고 털어놨다. A씨는 “당일 이태원에 있던 인파를 봤냐”고 되물으며 “인파는 사람들이 몰리기 전부터 미리 통행의 방향과 흐름을 만들어야 통제가 되는데, 이미 인파가 몰린 상황에서 파출소 직원 20명이 통제할 수 없었다”고 짚었다. 이어 “경찰청장이 그날 밤 주어진 여건하에서 최선을 다했던 파출소 경찰관들을 여론 재판의 한복판으로 밀어넣었다”고 꼬집었다.
2022-11-07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