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대학 통폐합 졸속 강행” 글로컬대 지원 앞두고 커지는 반발

“대학 통폐합 졸속 강행” 글로컬대 지원 앞두고 커지는 반발

김지예 기자
김지예 기자
입력 2023-05-11 16:46
업데이트 2023-05-11 16: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000억 지원’ 혁신안 제출 이달 마감
통합 논의 대학들, 학내 반발 커져
“충분한 설명·의견 수렴 부족” 비판
“구성원 동의 기준 정하기 어려워”

이미지 확대
11일 부산교대 학생들이 부산교대 학생회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논의 없이 진행되는 글로컬 대학 30 사업을 중단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부산교대 총학생회 제공
11일 부산교대 학생들이 부산교대 학생회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논의 없이 진행되는 글로컬 대학 30 사업을 중단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부산교대 총학생회 제공
비수도권대 30곳에 학교당 1000억원을 지원하는 ‘글로컬대학30’(글로컬대) 신청서 마감이 이달 말로 다가온 가운데 통·폐합 논의 중인 대학 구성원의 의견 수렴이 졸속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11일 대학가에 따르면 부산대와 통합을 논의해 온 부산교대에서는 글로컬대 사업 지원을 앞두고 학내 반발이 거세다.

부산교대는 지난달 21일 부산대에서 통합을 전제로 글로컬대 사업에 공동 지원하자는 제안을 받고 지난 3일 이메일로 구성원들에게 공지한 뒤 10일 학생과 교직원, 교원 대상 찬반투표를 했다. 총학생회가 밝힌 투표 결과에 따르면 학부생 1453명 중 33명(2.3%)만 투표에 참여해 사실상 보이콧했다. 교직원은 총 96명 중 86명이 투표해 이 중 62명(72%)이 찬성했고, 교수는 82명 중 71명이 투표해 42명(59.1%)이 찬성했다.

부산교대 총학생회는 “졸속 통폐합 강행”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총학생회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학교의 일방적인 메일 통보 후 단 1주만에 진행된 투표 과정에서 학생의 충분한 의견 수렴은 없었다”며 “대학은 글로컬 사업과 관련한 어떤 정보도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아 혼란을 야기했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부산교대 관계자는 “2021년 통합 논의가 본격화된 후 관련된 설명은 꾸준히 해왔다”며 “부산대의 제안서는 부산대의 아이디어가 담긴 것으로 공개가 어렵다”고 반박했다.

통합을 전제로 글로컬대 지원을 검토 중인 충남대와 한밭대, 강원대와 강릉원주대 등 다른 대학도 비슷한 반발이 나오고 있다. 학교 측이 통합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과 정보를 충분히 공개하지 않은 채 속도전으로 진행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충남대의 경우 통합과 관련해 학내 설명회를 진행 중이지만 구성원들은 내용 설명과 의견 수렴 절차를 정확히 마련해 이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충남대 총학생회는 “17개 단과대 중 일부 단과대만 설명을 진행하고 있다”며 “통합 추진 동의에 앞서 학생 의견 반영 절차를 마련해 이행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어 “구성원 동의와 의견 수렴이 형식적인 절차로 끝나지 않기 위해서는 교육부의 구체적인 가이드라인과 평가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했다.
이미지 확대
김중수 글로컬 대학위원회 위원장이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기자회견장에서 글로컬 대학 30 추진방안 확정 및 선정 추진과 관련해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중수 글로컬 대학위원회 위원장이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기자회견장에서 글로컬 대학 30 추진방안 확정 및 선정 추진과 관련해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17일 교육부가 글로컬대 추진 방안을 발표하면서 ‘과감한 혁신’ 중 하나로 대학간 통합을 제시한 이후, 기존에 통합 논의를 해왔던 대학들은 통합을 전제로 글로컬대 지원을 검토하고 있다. 대학들은 오는 31일까지 혁신 계획을 담은 기획서를 제출하고 9월 본지정 평가 전까지 구성원 동의를 증명하는 의견 수렴 결과를 내야 한다.

대학들은 구성원 동의와 의견수렴의 기준을 정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한 지방 국립대 관계자는 “구성원 동의가 관건인데 교육부가 제시한 기준이 없어 방법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다”며 “대학 구조 개혁에 대한 시급성은 공감하지만 구성원 목소리를 수렴해 추진하기에는 급한 측면이 있다”고 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구성원 동의 기준을 일률적으로 정하기는 어렵다. 구성원들이 혁신안에 대한 공감대가 얼마나 있는지, 동의하는 과정이 있는지가 관건”이라고 밝혔다.
김지예 기자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