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팩트체크]수입 가구 통해 집 무너뜨리는 흰개미가 국내에 들어왔다?

[팩트체크]수입 가구 통해 집 무너뜨리는 흰개미가 국내에 들어왔다?

김주연 기자
김주연 기자
입력 2023-05-21 18:47
업데이트 2023-05-22 23: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서울 강남 주택서 발견 흰개미…마른나무 갉아먹는 외래종 확인
서울 강남 주택서 발견 흰개미…마른나무 갉아먹는 외래종 확인 최근 서울 강남구 논현동 한 주택에서 발견된 흰개미는 세계적으로 목조건축물에 큰 해를 끼치는 외래 흰개미로 잠정 확인됐다. 사진은 환경부에 제보된 흰개미.
연합뉴스
최근 서울 강남구 논현동 한 주택에서 목조 건축물뿐만 아니라 가구 등에도 해를 끼치는 것으로 알려진 외래 흰개미가 발견되면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수입 가구를 통해 수년 전 국내로 유입된 뒤 이미 토착화된 상태가 아니냐는 추측도 제기된다.

환경부와 국립생태원은 지난 18일 외래 흰개미가 발견된 주택에서 사체 2개를 추가로 발견한 뒤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마른나무를 좋아하는 ‘크립토털미스’속 외래 흰개미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종을 확인하기 위한 유전자 분석이 끝나기까지는 일주일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흰개미나 칸몬흰개미처럼 국내에 서식하는 흰개미는 수분이 있는 목재를 갉아먹었다. 이 때문에 습하고 그늘진 곳에 있는 목재 건축물들의 바닥 부분이 주로 피해를 입기 쉬워 국내에선 나무의 수분 함량이 30%가 넘어가면, 레이저로 움직임을 탐지하는 식으로 흰개미를 추적하고 제거해왔다. 이와 달리 마른나무를 갉아먹는 외래 흰개미는 수분이 없는 곳도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외국과 달리 우리나라는 목조 건축물이 많지 않아 집이 무너질 위험은 크지 않지만, 나무로 된 문틀 등 일부 구조물이나 목재 가구나 액자까지도 흰개미가 살 수 있다. 한옥의 기둥 윗부분까지 갉아먹을 수 있어 문화재 피해도 우려된다.
이미지 확대
외래 흰개미
외래 흰개미 국립생태원 관계자들이 외래 흰개미가 발견된 문틀을 조사하고 있다.
환경부 제공
환경부가 역학조사를 예고했지만 이번에 발견된 흰개미가 국내에 어떻게 유입됐을지를 파악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국립생태원은 최초 발견된 집의 문틀에서 서식하고 이동한 것으로 추정했지만, 집으로 유입된 경로는 파악되지 않았다. 환경부 관계자는 “(마른나무 흰개미는) 저온에서 살기 어렵지만, 외부가 아닌 방과 배란다 사이 문틀은 겨울도 따뜻해 살 수 있던 것으로 추정된다”면서도 “토착화될 가능성은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초 신고자의 집에선 총 30여마리가 발견됐다. 날개를 단 생식형 흰개미는 군체의 1~3%라는 점을 감안하면, 다른 곳에 외래 흰개미가 더 서식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는 게 전문가의 판단이다.

박현철 부산대 교수는 “수입 목재는 현지 출하와 국내 유입시 방부·방충 처리를 하기에 문틀 원 재료가 수입됐더라도 이를 통해 흰개미가 유입될 가능성은 낮다”면서 “개인이 가져오는 가구나 화분 속 흙 등을 통해 유입될 수 있다”고 봤다. 그러면서 박 교수는 “주위 환경에 적응하지 않으면 알을 낳을 장소를 찾지 않기에 국내에 들어온 지 최소 5년이 지났다. 유입 경로를 파악하기보단 대처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며 “도심은 열섬 효과도 있어 기후와 관계없이 살아남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2017년 9월 부산항 감만부두에서 붉은불개미가 처음 발견된 뒤 정부는 모든 여왕 불개미를 포함해 모든 무리가 죽은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하지만 이후 항만이 아닌 내륙에서도 붉은불개미 발견이 이어졌고 2018년 붉은불개미는 생태계교란 야생생물로 지정됐다.
김주연 기자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