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이상 ‘그냥 쉰’ 청년 8만 2000명…3년 만에 증가 전환

3년 이상 ‘그냥 쉰’ 청년 8만 2000명…3년 만에 증가 전환

강동용 기자
강동용 기자
입력 2024-09-19 17:11
수정 2024-09-19 17: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그냥 쉰 청년, 장기 미취업 청년 3명 중 1명
코로나 이후 감소하다 3년 만에 증가 전환

이미지 확대
19일 한 청년이 서울시 청년일자리센터를 이용하고 있다. 연합뉴스
19일 한 청년이 서울시 청년일자리센터를 이용하고 있다. 연합뉴스


3년 이상 아무런 경제 활동도, 취업 준비도 하지 않고 집에서 그냥 쉰 청년(15~29세)이 8만명을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3년 만에 반등했다. 정부의 취업 지원 정책이 청년이 원하는 양질의 일자리 확충보다 일자리 개수 늘리기에만 집중했기 때문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19일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최종학교를 졸업·수료·중퇴했지만 3년 이상 취업하지 않은 청년이 지난 5월 기준 23만 8000명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된 2022년 이후 최대 규모다.

이 중 ‘집 등에서 그냥 시간을 보냈다’고 응답한 청년은 8만 2000명(34.2%)에 이르렀다. 3년 이상 장기 미취업 청년 3명 중 1명은 취업을 위한 시험 준비나 구직 활동조차 하지 않았다는 의미다. 이어 ‘취업 관련 시험 준비를 했다’ 28.9%(6만 9000명), ‘육아·가사를 했다’ 14.8%(3만 5000명), ‘진학 준비를 했다’ 4.6%(1만 1000명) 순이었다.

주목할 부분은 ‘3년 이상 쉰 무직 청년’이 올해 다시 늘었다는 점이다. 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했던 2021년 9만 6000명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2022년 8만 4000명, 지난해 8만명으로 꾸준히 줄다가 올해 2000명 반등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8년 5만 4000명, 2019년 6만 4000명보다 2만~3만명 많은 데다 청년인구 감소세까지 고려하면 규모가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취업을 원하지만 임금 수준 등 조건이 맞지 않아 취업 결심을 접은 ‘청년 구직 단념자’도 늘고 있다. 올해 1~5월 월평균 12만 179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0만 8525명보다 1만 1654명(10.7%) 늘었다. 전체 구직 단념자 38만 7000명의 31.1%에 이른다.

이병훈 중앙대 사회학과 명예교수는 “정부가 그간 공공일자리를 늘리는 식으로 청년 취업 지원책을 펼친 결과”라면서 “주거·일자리·문화 등 폭넓은 ‘청년 보장 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