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 전후 분석… PTSD도 5.9%↑
세월호 등 책임자 처벌 흐지부지
“진실규명과 단죄 확실하게 해야”
‘2014년 세월호, 2022년 이태원, 2023년 오송, 2024년 제주항공 참사.’
안전하다고 믿었던 일상에서 반복되는 대형 참사는 당사자뿐 아니라 국민 마음도 병들게 한다. 1일 서울신문이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이태원 참사(2022년 10월 29일) 전후 1년간 우울증과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진료 인원을 분석한 결과 우울증 환자는 8.3%, PTSD 환자는 5.9%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2021년 10월~2022년 10월 월평균 37만 1372명이던 우울증 환자는 이태원 참사 이후인 2022년 11월~2023년 11월 사이 40만 2098명으로 늘었다. 같은 기간 월평균 PTSD 환자는 4519명에서 4787명으로 늘었다. 계절적 요인을 배제하기 위해 분석 범위를 2021년 1월~2023년 12월로 넓히면 우울증과 PTSD 환자의 월평균 진료 인원은 각각 13.4%, 9.5% 증가했다. ‘나도 희생자가 될 수 있었다’는 두려움과 불안, 아픔이 광범위한 트라우마와 상처를 남겼음을 알 수 있다.
심민영 국가트라우마센터장은 “뉴스 등 영상으로 사고를 간접 경험한 국민도 ‘집단 트라우마’를 겪게 된다”며 “특히 불안과 공포가 가라앉기도 전에 참사가 연이어 터지면 트라우마가 누적된다”고 우려했다.
전문가들은 유가족뿐 아니라 참사 이후 불안·우울을 겪는 국민에 대해서도 심리 지원을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진실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확실히 하고 진상조사 과정을 유가족에게 투명하게 공개해야 집단 트라우마가 커지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태원 참사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조사위원회는 참사 발생 695일 만인 지난해 9월 말에야 출범했고, 세월호·이태원 참사 모두 책임자 처벌이 흐지부지되면서 불신과 트라우마가 확대 재생산됐다. 최윤경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장은 “일어나선 안 될 사고를 당했을 때 사람들은 ‘왜 내게 이런 일이 벌어졌지’라고 질문한다. 여기에 답을 줘야 회복 단계로 넘어가는데 진상조사 단계부터 막혀 버리면 불안과 울분이 장기화할 수 있다”고 했다.
2025-01-02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