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동네 복간시집 시리즈 중 하나
35년 만에 다시 세상에 나와 관심
황학주 시인의 첫 시집‘사람’이 문학동네 복간시리즈로 35년만에 다시 세상에 나왔다. 문학동네
1987년 ‘청하’에서 출간됐던 황학주 시인의 시집 ‘사람’이 35년 만에 문학동네 복간 시집 시리즈 ‘문학동네포에지 084’로 복간되어 다시 세상에 나왔다.
문학동네는 “이미 절판되어 오래된 명성으로만 만날 수 있었던 시들, 동시대를 대표하는 시인들의 젊은 날의 아름다운 연가(戀歌)가 여기 되살아난다. 우리를 벅차게 했으나 이제는 읽을 수 없게 된 옛날의 시집을 되살리는 작업 또한 그리움의 일이다”는 기획의 말과 함께 9차분 열 권의 시집을 지난 연말에 세상에 내놓았다. 황 시인의 첫 시집 ‘사람’외에도 유안진·이시영·강기원·김이듬·엄원태·박시하·전동균·김은주·정해종 시인의 시집이 포함돼 있다.
황 시인은 당시로는 드물게 기성 등단 제도를 통하지 않고 시집 ‘사람’으로 문단에 나왔으며 “상처에 대한 개인적 체험을 사회라는 보편적 체험인 1980년대 5·18항쟁과 연관, 확장시키고자 하였으면서도, 그 시대 민중 시인들과 전혀 다른 독자적인 서정시의 세계를 펼쳤다”는 시단의 평가와 함께 그 이름을 알렸다.
시인이자 평론가인 장석주는 시집 ‘사람’의 해설에 ‘상처 입은 넋들을 위한 추도사’라는 제목을 달고 “여기 놀랄 만한 새로운 시인이 있다!” 며 운을 뗐다. 그리고 ”황학주의 시를 읽는 즐거움은 1차적으로 그의 시적 표현, 비약과 단절의 수사학이 두드러지는 묘미를 음미하는 데서 찾을 수 있을 것이나, 그러나 진짜 그 시세계의 독작적인 의미와 가치는 황학주에 의해 체계화된 우리 삶의 진실한 모습일 것이다. 황학주의 ‘사람’은 우리 시대의 상처받은 삶의 기록이다. 그만큼 그의 시집은 비극적인 정서로 충만되어 있다. 상처, 그 손상당한 삶을 고요히 껴안고 눈물어린 눈으로 우리 삶의 보편의 지평을 응시하고 있는 그의 시들을 읽는 것은 우리가 우리 시대의 삶의 훼손, 그 고통을 동의하는 그만큼 대단히 고통스러운 경험이었다. 일찍이 이성복의 ‘뒹구는 돌은 언제 잠깨는가’에 의해 그 구체적 모습을 드러냈던 한국근대 역사체험으로서의 우리 시대의 삶의 상처, 삶의 고통이 다시 황학주의 ‘사람’에 와서 더 깊고 진지한 표현으로 활짝 꽃피고 있는 것을 보는 것은 고통스럽게 감동적”이라고 평했다.
독특한 어법과 돌발적인 이미지 구사 등으로 한국 서정시에 다채로움을 더했다고 이야기되는 황 시인은 첫 시집 ‘사람’ 이후에 11권의 시집을 더 펴냈다. 그의 작품에 대해 “애매성의 매혹”(이광호), “서정적 서사시의 개척자”(박덕규), “미학주의와 허무주의의 찬란한 융합” “독거의 아름다운 높이와 깊이”(이숭원), “사랑을 가장 수준있게 다루는 시인”(이혜원) 등등의 여러 평가가 있다.
황 시인은 서울여대 국문학과 겸임교수, 국제구호단체 피스프렌드 회장 등을 지내다 은퇴하고 2014년 제주로 이주해 현재 조천읍에서 살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