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개편안] ‘공통과목에 일반선택 조합’ 3개안 검토

[교육과정 개편안] ‘공통과목에 일반선택 조합’ 3개안 검토

입력 2014-09-12 00:00
업데이트 2014-09-12 04: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문·이과 통합’ 수능 어떻게

2018학년도부터 고등학교 교육과정이 문·이과 통합형으로 개정되면서 대학 입학의 관문인 대학수학능력시험에도 큰 폭의 변화가 불가피해졌다. 교육부는 현재 초등학교 6학년이 응시하는 2021학년도 수능부터 바뀐 교육과정을 적용할 방침이다. 대입시험을 3년 전에 예고한다는 정책대로라면 2021학년도 수능은 일러야 2017년에나 확정안이 발표된다.

이번 교육과정 개편안에서 교육부가 확실히 밝힌 부분은 ‘공통과목’이 수능에 출제된다는 점뿐이다.

공통과목은 고등학생이라면 누구나 배워야 할 기초 소양을 담은 과목으로 수능에 출제되는 과목은 새 교육과정에서 과학탐구실험을 제외한 국어·수학·영어·통합사회·통합과학·한국사 등 6과목이다.

문제는 여기에 어떤 과목이 추가되느냐다.

새 교육과정은 물리·화학·생명공학·지구과학·한국지리·세계사·경제 등 현재 수능에서 출제되는 대부분의 과학탐구·사회탐구 과목을 ‘일반 선택과목’으로 돌렸다.

교육부는 추후 정책 연구를 통해 수능 과목 범주를 결정한다는 방침이지만 공통과목과 선택과목 조합을 통해 세 가지 수능안이 가능해진다.

A는 공통과목으로만 수능을 보는 안, B는 공통과목과 수학·사회·과학 교과의 선택과목을 조합하는 안, C는 국·수·영 등 3개 교과에서 공통수능을 보고 사회·과학에서 선택과목을 조합하는 안이다. 문·이과 통합이라는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는 A안이 바람직하지만, 이공계 대학생에게 요구되는 수학·과학 능력이 다르다는 점을 감안하면 B안이나 C안이 유력시된다.

심지어 확률·통계, 미적분 등 이공계의 기본이 되는 수학 단원까지 공통수학에서 제외했기 때문에 전반적인 수학 수준 하락을 막기 위해서도 A안은 피할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선택과목은 현행대로 수학·과학·사회 영역별로 1~2과목 정도가 채택될 전망이다.

연구위원회 역시 “수능시험 체제를 공통과목에만 국한할 경우 선택과목의 수업 운영이 파행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는 점을 감안, 선택과목에 대한 성취도를 수능이나 다른 방법을 통해 대입에 반영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밝혀 선택과목의 수능 반영을 시사했다.

박건형 기자 kitsch@seoul.co.kr
2014-09-12 5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