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분노와 혈관질환

[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분노와 혈관질환

입력 2011-03-28 00:00
업데이트 2011-03-2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런 유형의 사람이 있다. 그는 평소 자신을 둘러싼 상황에 매우 부정적이다. 부정적 감정이 지나쳐 자주 적대감을 드러내기도 한다. 하지만 그는 대부분의 부정적 감정을 표출하기보다 속에서 끓이다 만다. 그러면서 부정적 감수성이 강하면서도 스스로 이런 감정을 억누르는 ‘사회적 억제’에 익숙해 간다.

네덜란드 에라스무스 의료원에서 혈관성형 환자 875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더니, 이런 성격을 가진 사람이 치료 후 9개월 이내에 심장마비를 겪거나 사망할 위험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무려 다섯 배나 높았다. 일본에서도 한때 이런 유형의 질환자들이 급증했다. 1960년대에 이런 문제를 주로 다룬 일본정신신체의학회는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컸다. 당시 일본 사회의 집체성은 개인의 감정을 최대한 억제하도록 요구했고, 질서를 내세워 사회적 분노와 적개심을 억압하도록 가르쳤다. 이는 ‘사회적 억제’로 이어져 일사불란한 집단은 완성됐지만 부정적 감수성을 키워 많은 환자를 양산했던 것이다. 이 같은 상황이 오늘날 ‘질서 잘 지키고, 예의 바른 일본’의 외피를 형성했음을 부정할 수 없다.

이런 유형의 사람은 혈관 질환에 취약하다. 분노감·적대감이 혈류를 늘려 혈관벽을 손상시키고, 이 때문에 많은 지방산이 혈관에 유입돼 혈관을 틀어막는다. 게다가 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면서 다량의 아드레날린과 노르아드레날린이 작용해 혈압을 높이기도 한다. 누구나 일상적으로 분노감이나 적대감을 느끼지만 표출하는 양상은 제각각이다. 물론 그런 감정을 안 갖는 게 좋지만 그건 어려운 일이다. 그렇다면 부정적인 자기감정을 어떻게 해소할까를 고민해야 한다. 대화도 있고, 담소나 운동도 있다. 그래도 문제가 된다면 의사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다. 해법은 간단하다. 부정과 분노 속에 자신을 매몰시키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jeshim@seoul.co.kr

2011-03-28 2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