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자협·英브리스톨大 워크숍
뇌과학 분야 전문가인 케이 조 영국 브리스톨대학 석좌교수는 치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는 있지만 연구개발비는 암 치료 및 연구비의 100분의1 수준에 불과하다며 기형적인 연구개발의 개선를 강조했다.
조 교수는 지난 10일(현지시간) 브리스톨대에서 열린 한국여기자협회와의 워크숍에서 “영국의 치매환자는 80만 명, 한해 치료비만 230억 파운드(약 40조원)에 이른다”면서 “전 세계적으로 치매 환자는 3700만명으로 추정되며 7초마다 새 환자가 발병하고 있다”고 심각성을 설명했다. 치매는 진행이 더디고, 현재까지는 치료약이 없고 진행속도만 늦추는 약만 나와 있지만 효과 대비 너무 비싼 것이 문제라고 덧붙였다.
조 교수는 “치매에 대한 연구가 경쟁력을 갖추려면 정부와 대학, 기업 등 3자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궁극적으로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켜야 한다”면서 “동시에 다국적 연구중심병원 간 협력연구가 진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영국 정부처럼 치매를 정책의 우선순위에 놓고 사회인식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영국은 데이비드 캐머런 총리가 2013년 ‘치매와의 전쟁’을 선언하고 2015년까지 치매 조기 진단과 연구에 대한 지원을 대폭 늘렸다. 이 같은 정책의 일환으로 브리스톨대는 정부로부터 5년간 1200만 파운드(약 208억원)를 지원받아 치매환자를 위한 스마트 헬스 케어 홈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를 총괄하는 제러미 타바레 교수는 “초·중기 치매환자들이 요양병원이 아닌 자기 집에서 생활하면서 치료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라며 “기존의 각종 센서 장치들을 활용해 환자의 행동을 모니터하면서 위급상황이 발생하면 의사나 간병인, 구급인력이 즉시 대처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환자의 체온과 맥박, 혈압은 물론 전기·가스·물 사용량을 항시 체크하고 폐쇄회로(CC) TV를 설치해 환자 상태를 모니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인데 환자와 가족들의 사생활 침해 논란이 해결해야 할 난제다.
타바레 교수는 “대학 구내에 집을 하나 구해 센서네트워크를 설치해 자원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 중”이라며 “연구 결과를 토대로 5년 안에 실용화가 목표”라고 설명했다. 그는 “스마트 헬스 케어 홈이 치매 치료의 미래”라고 강조했다.
브리스톨(영국) 김균미 기자 kmkim@seoul.co.kr
2014-04-17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