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위 속 불안한 기다림](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2/13/SSI_20211213133528_O2.jpg)
![추위 속 불안한 기다림](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2/13/SSI_20211213133528.jpg)
추위 속 불안한 기다림
13일 오전 서울역 광장에 마련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임시 선별검사소에서 검사를 받으려는 시민들이 줄을 서고 있다. 2021.12.13 연합뉴스
![계속되는 코로나19 검사](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2/13/SSI_20211213133537_O2.jpg)
![계속되는 코로나19 검사](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2/13/SSI_20211213133537.jpg)
계속되는 코로나19 검사
13일 오전 서울역 광장에 마련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임시 선별검사소에서 의료진이 검체를 채취하고 있다. 2021.12.13 연합뉴스
13일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코로나19 대응 백브리핑에서 관련 질의에 대해 “금주 월∼수요일 환자 추세선과 고령층 환자 비중이 악화하고, 의료 체계의 여력이 감소해 위험한 수준이라고 판단되면 특단의 조치까지 검토한다는 것”이라며 “사회적 대응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박향 중수본 방역총괄반장도 “현재 추가 접종 속도와 (지난 6일부터 시행된) 특별방역조치 등이 어떻게 반영됐는지 종합적으로 보고 이번주 내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할지) 판단을 하게 될 것”이라며 “상황이 시시각각 변하고 있어 추이를 지켜보고 방향을 정하겠다”고 답했다.
의료 대응 역량의 한계치와 관련해 박 반장은 “위험 기준으로는 (중환자 병상 가동률) 75% 정도를 보고 있지만, 위험도 평가시에는 다른 요인들도 함께 보기 때문에 이 수치로만 판단하긴 어렵다”며 “이미 가동률이 80%를 넘어섰기 때문에 병상 확보와 효율화 등을 추진 중”이라고 답했다.
손 반장도 위중증 환자가 900명을 넘어설 경우 추가 대책이 나올 수 있다는 전망에 대해 “중환자 숫자를 절대적 기준으로 삼기보다, 전체적인 유행 양상과 고령층 환자 비중, 위중증 환자 발생 상황, 병상 등 의료체계 여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단의 조치’에 포함될 구체적 사안에 대해서는 “확정되지 않은 후보안을 설명하긴 어렵다”면서 “(이를 논의하게 될) 일상회복지원위원회 일정도 현재로선 잡힌 바가 없다”고 덧붙였다.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자료사진.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8/26/SSI_20210826153332_O2.jpg)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자료사진.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8/26/SSI_20210826153332.jpg)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자료사진. 연합뉴스
손 반장은 “전체 성인의 8%에 불과한 미접종자가 중증·사망자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며 “현재 국내 미접종자는 전체 인구의 19%, 18세 이상 성인의 8%지만, 최근 2주간 중증환자의 51%, 사망자의 54%가 미접종자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70대의 경우, 접종 완료자의 치명률은 1.1% 수준인 데 반해 미접종자의 치명률은 5.7%까지 높아져 5배 이상 격차를 보였다.
손 반장은 “미접종자는 전체 인구에서는 작은 비중이지만, 의료 체계 여력을 압박하는 중증·사망자의 절반가량을 차지하고 있어서 3차 접종을 확대하는 상황”이라며 60대 이상 미접종자의 외출 자제와 백신 접종을 당부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