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적법개정’ 오락가락…화교들 뿔났다

‘국적법개정’ 오락가락…화교들 뿔났다

입력 2010-02-16 00:00
업데이트 2010-02-16 17: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상황에 따라 이랬다저랬다(出爾反爾;출이반이)하면 장사꾼도 ‘얄팍한 상술’로 비판받는 법인데 국가정책이 어떻게 신뢰를 얻겠습니까?”(주한 화교 언론인)“이런 것만 봐도 한국은 아직 열린사회가 아닌 것 같습니다.”(탄다오징 서울교대 중국어 담당 교수) 국회 법제사법위원회가 16일 오후 2시 전체회의를 열어 국회에 상정된 국적법 개정안 등 법안 심의에 들어간 가운데 주한 화교사회는 우리 정부가 복수국적 부여 대상에서 화교를 제외 → 포함 → 제외 로 입장이 수 차례 바뀌자 격앙된 분위기가 역력하다.

 15일 서울 명동의 달마 불교회 사당(廟宇.묘우)인 거선당(居善堂)문화회에 모인 화교들 다수는 “한국정부가 우리에게 국적을 주겠다고 약속,한껏 들뜨게 해놓고 이제와서 딴 소리를 한다”고 성토했다.

 한성화교협회의 양충셩(楊從昇) 회장과 우쉐빈(吳學彬) 감사장(監事長) 등 간부들은 행사 종료 후 3층 사무실에 모여 법무부의 ‘국적법 개정’ 추진과 관련한 대응책을 논의했다.이 자리에서 “만만하게 보였다는 반증이다” 또는 “우리가 한국에 큰 득이 되지 못하나?” 식의 한탄과 낙담이 이어졌다.

 양 회장은 “지난해 봄과 가을 정부 요로에 회원들의 복지혜택 등 현안해결을 위해서라도 한국 국적이 꼭 필요하다고 청원했고 한국정부가 이를 수용,전향적인 입장(국적 부여)을 발표해 화교들에게 그대로 통보했는데 끝내 없었던 일이 돼 버려 화교들을 볼 면목이 없다”고 말했다.

 산둥성 출신의 4대 화교로 그 동안 청와대와 법무부 등을 상대로 복수국적 부여 운동을 펼쳐온 우쉐빈 감사장은 “무수한 탄압과 배척을 받아온 우리들로서 차별 철폐,복지혜택 누리기,정치적 권리(참정권) 신장 등 화교사회 현안을 일거에 해결해 줄 무기는 국적 취득뿐이다는 생각에 화교들을 설득해 연대서명 작업 등도 벌였는데...신뢰까지 잃을까 걱정이다”며 허탈해했다.

 삐커신(畢可信) 거선당문화회장은 “화폐개혁(1962년)과 차이나 타운 강제철거 등 화교들이 수난을 당한 사건이나 차별적인 화교정책은 과거 일로 치더라도 국적이 없어 지금 당하는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니다”며 “국적 부여 소식에 우리는 한국사회가 덜 배타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환영했는데 아쉽다”고 말했다.3개월마다 세금만 1천만원을 낸다는 삐 회장은 “휴대전화나 인터넷의 실명 가입이 잘 안되는 불편함은 참을 수 있지만 연간 수 백∼수 천만원씩 세금을 내며 살아온 화교 노인들이 연금 혜택은 커녕 지하철의 무료 이용도 안되고 장애인들도 장애인 수첩을 받지 못하는 게 가슴 아프다”고 말했다.

 탄다오징(譚道經) 서울교대 중국어 담당 교수는 “화교는 언어뿐 아니라 한국·중국·대만적 사고방식을 모두 보유해 한국기업의 중화권 진출이나 협상에서 크게 공헌할 수 있다”며 현대·기아자동차의 쉐룽싱(薛榮興) 중국사업 담당 부회장과 탄다오훙(譚道宏) 부사장이 발탁된 것을 사례로 들었다.

 탄 팀장은 “중국과 교류에서도 중국에서는 한국인보다 화교를 더욱 신뢰하는 만큼 이들이 한국 기업이나 한국 사회의 일원으로서 공헌할 여지가 많다”고 덧붙였다.

 법무부 관계자는 16일 “지난해 11월 20일 간 입법 예고시 국민여론 및 관계부처와 의견 수렴 과정에서 화교 입영 대상자의 병역의무 기피시 일반 국민의 반감이나 형평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어 시기상조라는 의견이 우세해 부득이 국적 부여 대상에서 제외됐다”고 말했다.

 국적 회복자의 경우 병역의무가 부과되지만 화교의 경우 국적 취득을 하면 귀화자 신분이 되고 ‘귀화자는 입대 여부를 스스로 선택’하게 돼 있는 병역법 규정으로 인해 입대를 원치 않는 사례가 많을 수 있다는 것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