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려운 곳을 긁으면 왜 더 가려울까. 많은 사람들이 가려움에 시달릴 때마다 품어온 의문이 과학적으로 규명됐다.
미국 워싱턴대 의과대학 소양증연구실장 천저우펑 박사는 가려운 곳을 긁으면 더 가려워지는 악순환의 주범은 피부를 긁을 때 유발되는 가벼운 통증이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사이언스 데일리가 30일 보도했다.
가려운 곳을 긁으면 피부에 통증이 발생하기 때문에 척수의 신경세포들이 가려움 신호 대신 통증 신호를 우선 뇌에 전달, 일시적으로는 가려움을 느끼지 않게 된다. 그러나 뇌에 통증 신호가 전달되면 이에 대한 반응으로 통증을 가라앉히는 신경전달물질 세로토닌이 분비되는데 이 신경전달물질이 엉뚱하게도 가려움을 뇌에 전달하는 뉴런(신경세포)을 활성화해 가려움이 더 심해진다는 것이다.
천 박사는 쥐실험을 통해 세로토닌이 특별히 가려움을 뇌에 전달하는 척수의 GRPR 신경세포들을 활성화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천 박사는 세로토닌은 통증 억제 외에도 기분조절,성장,뼈의 대사 등에도 관여하기 때문에 가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세로토닌 분비를 차단한다면 더 심각한 결과가 올 수 있다면서 현재로서는 가려움을 참는 길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이 연구결과는 의학전문지 ‘뉴런’(Nuron) 최신호에 발표됐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미국 워싱턴대 의과대학 소양증연구실장 천저우펑 박사는 가려운 곳을 긁으면 더 가려워지는 악순환의 주범은 피부를 긁을 때 유발되는 가벼운 통증이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사이언스 데일리가 30일 보도했다.
가려운 곳을 긁으면 피부에 통증이 발생하기 때문에 척수의 신경세포들이 가려움 신호 대신 통증 신호를 우선 뇌에 전달, 일시적으로는 가려움을 느끼지 않게 된다. 그러나 뇌에 통증 신호가 전달되면 이에 대한 반응으로 통증을 가라앉히는 신경전달물질 세로토닌이 분비되는데 이 신경전달물질이 엉뚱하게도 가려움을 뇌에 전달하는 뉴런(신경세포)을 활성화해 가려움이 더 심해진다는 것이다.
천 박사는 쥐실험을 통해 세로토닌이 특별히 가려움을 뇌에 전달하는 척수의 GRPR 신경세포들을 활성화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천 박사는 세로토닌은 통증 억제 외에도 기분조절,성장,뼈의 대사 등에도 관여하기 때문에 가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세로토닌 분비를 차단한다면 더 심각한 결과가 올 수 있다면서 현재로서는 가려움을 참는 길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이 연구결과는 의학전문지 ‘뉴런’(Nuron) 최신호에 발표됐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