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돋보기] ‘외인들만의 리그’… 배구 이대로 좋은가

[스포츠 돋보기] ‘외인들만의 리그’… 배구 이대로 좋은가

입력 2010-04-21 00:00
업데이트 2010-04-21 01: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승부는 에이스 싸움”이라고 프로배구 감독들은 말한다. 여기서 에이스는 공격수이다. 문제는 2005~06시즌 외국인 선수제 도입 이후 ‘공격수=외국인 선수’로 인식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구단들은 국내 선수 육성보다 외국인 선수 사냥에 열을 올리고 있다. ‘잘 찍은’ 외국인 선수 하나가 우승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탓이다.

●‘잘찍은’ 외국인선수 우승 결정적 영향

여자부에서는 대표적으로 ‘데스티니 효과’가 있었다. GS칼텍스 이성희 전 감독은 지난해 12월 말 이브(19·도미니카)가 시원찮다고 판단되자 만사 제쳐놓고 미국행 비행기를 탔다. 시즌 중이었지만 외국인 선수 영입이 더 급했다. 결국 GS칼텍스는 2승10패로 꼴찌에서 슈퍼 외국인 선수 데스티니 후커(23·미국)의 영입으로 역대 최다인 14연승을 달리며 플레이오프까지 나갔다.

KT&G는 2009~10시즌 정규리그에서 2위를 했지만, 포스트 시즌에서 확 살아난 ‘엄마 용병’ 마델라이네 몬타뇨(27·콜롬비아) 덕분에 GS칼텍스를 뿌리치고 챔피언결정전에 진출했다. 챔피언결정전에서 정규리그 1위 현대건설을 압도하면서 5년 만에 챔피언 컵을 가져갈 수 있었다.

남자부도 외국인 선수가 정규리그 1위와 챔피언결정전 통합우승을 결정했다. 올 시즌 시작 전 4위로 예상됐던 삼성화재는 ‘캐나다산 폭격기’ 가빈 슈미트(24) 덕분에 정규리그 1위를 확정 짓고, 챔피언결정전에서 현대캐피탈을 꺾었다. 삼성화재가 올 시즌을 포함해 챔피언전 3연패를 한 배경에는 안젤코 추크(크로아티아)와 가빈이라는 걸출한 외국인 선수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2005~06, 2006~07시즌 숀 루니(미국) 덕을 봤던 현대캐피탈도 시즌 막판에 매튜 앤더슨(23·미국)을 헤르난데스(40·쿠바)와 교체하는 강수를 뒀다. 시즌 중반 10연승의 돌풍을 일으킨 대한항공 신영철 감독도 플레이오프를 겨냥해 다나일 밀류셰프(25·불가리아)를 퇴출시키고, 삼성에서 뛰었던 ‘원조 괴물’ 레안드로 다 실바(27·브라질)를 데려왔다. 그러나 둘 다 가빈에게는 역부족이었다.

●용병제도 국내선수·흥행 큰도움 못돼

한국배구연맹(KOVO)은 최근 외국인 선수 제도에 대한 연구 용역을 의뢰했다. 이 제도가 국내 선수 경기력 향상과 흥행에 도움을 주지 못했다는 판단 때문이다. 세계랭킹과 국제대회 성적이 외국인 선수들이 들어온 이후 오히려 하락했다. 이 때문에 다음 시즌부터 외국인 선수 영입과 출전 시간 등에 제한이 가해질 수도 있다.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
2010-04-21 2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