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좌 정복’ 오은선 마지막 고지… 홀리와의 인터뷰 남았다

‘14좌 정복’ 오은선 마지막 고지… 홀리와의 인터뷰 남았다

입력 2010-04-29 00:00
업데이트 2010-04-29 01: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봉등반 인증 국제 최고권위자

여성 세계 최초로 히말라야 8000m급 14개봉을 등정한 오은선(44·블랙야크) 대장이 28일 오후 7시45분 캠프1(5100m)로 무사히 내려왔다. 안나푸르나에서 하산하던 오 대장은 이날 오전 12시45분쯤 캠프4(7200m)에 순조롭게 도착했다.

이미지 확대
그러나 오 대장과 대원 6명은 6번째로 히말라야 8000m급 14좌를 완등한 후아니토 오이아르사발 대장의 스페인 원정대가 “대원인 톨로가 7700m 부근에서 탈진해 쓰러져 있다.”고 도움을 요청, 일단 캠프4에 머물렀다. 톨로가 있는 곳은 캠프4에서 6시간 이상 올라가야 하는 먼 거리. 오 대장은 전날 등정을 위해 20시간 가까운 강행군을 해 체력이 바닥났고 먹을 음식마저 거의 남지 않아 직접 구조에 나서진 못했다. 오 대장은 “가서 구할 순 없지만 물과 음식, 산소 등을 지원하려면 대기해야 한다.”며 하산을 미뤘다.

오 대장은 캠프4에 머물며 구조대에 합류하기를 기다렸지만, 도착이 늦어지자 결국 16시간 만인 오후 4시45분쯤 철수를 결정했다. 이후 3시간 만인 오후 7시45분 캠프1에 도착했다. 식량과 산소가 부족해 오 대장 원정대마저 위험에 빠질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 남은 식량과 자일, 산소를 캠프4에 있는 스페인 원정대 셰르파에 넘기고 하산했다. 오 대장은 캠프1에 도착한 뒤 “하산 때 눈이 날리고 안개로 앞이 잘 보이지 않는 화이트아웃 현상이 있었지만 위험한 순간을 잘 넘기고 캠프1에 내려왔다.”고 무선으로 베이스캠프에 연락했다.

오 대장은 1~2일 휴식을 취한 뒤 헬기 등을 통해 네팔 카트만두로 이동한다. 여성 최초 히말라야14좌 완등 기록을 공인받기 위한 마지막 관문이 남아 있어서다. 엘리자베스 홀리(86·미국) 여사와의 인터뷰가 그것이다. 홀리 여사는 1963년부터 네팔에 거주하면서 50여년간 히말라야 고봉 등반을 인증해 온 최고 권위자다.

오 대장은 지난해 히말라야 8000m급 고봉 중 13번째로 올랐던 칸첸중가(8586m) 등정과 관련해 다시 의혹을 받고 있다. AFP통신에 따르면, 오 대장과 경쟁했던 에두르네 파사반(36·스페인)이 27일 오 대장의 칸첸중가 등정 성공에 다시 의문을 제기했다. 티베트의 시샤팡마(8027m)를 등정 중인 파사반은 공영 라디오에서 “오 대장이 칸첸중가에 오른 뒤 우리도 올랐다. 하지만 오 대장이 보여준 사진들에는 내 사진과 달리 눈이 덮이지 않은 바위가 있었다.”면서 “오 대장과 함께 올랐던 셰르파에게 물어봤는데 정상에 오르지 않았다고 했다.”고 말했다.

영국 BBC도 오 대장의 기록에 대해 셰르파의 증언과 사진, 로프 등 의혹을 제기하며 의문을 표시했다. 이렇게 의혹이 잇따르자 오 대장의 칸첸중가 등정을 인정했던 홀리 여사도 “오 대장이 하산하면 당시 셰르파와 함께 다시 얘기를 들어볼 것”이라며 판단을 유보했다.

블랙야크 관계자는 “지난해 파사반도 오 대장의 칸첸중가 등정이 성공한 직후 축하한다는 메시지를 전했다. 다시 의혹을 제기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면서 “홀리 여사도 지난해 칸첸중가 등정을 인정한 만큼 국제 공인에는 문제 없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오 대장은 홀리 여사와의 인터뷰를 마친 뒤 등정보고회를 열고 새달 중순쯤 귀국할 예정이다.

황비웅기자 stylist@seoul.co.kr
2010-04-29 2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