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돋보기] 불편한 축구대표팀 차출 논쟁

[스포츠 돋보기] 불편한 축구대표팀 차출 논쟁

입력 2011-02-16 00:00
업데이트 2011-02-16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표팀 은퇴를 선언한 박지성(30·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을 시작으로 이청용(23·볼턴)에 차두리(31·셀틱)까지 유럽파들의 부상 소식이 이어지자 대표팀 선수 차출 방식에 대한 비난 여론이 뜨겁다.

훈련 기간을 포함해 1개월 넘게 진행됐던 아시안컵이 끝나기 무섭게 벌어진 터키와의 평가전에 각 소속팀 감독들의 불만을 무릅쓰면서까지 굳이 유럽파 선수들을 소집할 필요가 있었느냐는 것이다. 일리 있는 지적이다. 일정에 무리가 있었다. 선수들도 지칠 만했다. 하지만 쏟아지는 비판들의 근거를 살펴보면 마음 한쪽이 불편해지는 것도 사실이다.

대표적인 게 “월드컵 등 중요한 경기도 아닌 평가전에 왜 유럽파를 부르냐.”는 것이다. 이 같은 주장의 이면에는 K-리그 선수들을 유럽파의 대체요원쯤으로 여기는 차별적 논리와 대표팀 운영에 대한 몰이해가 자리 잡고 있다.

중계기술, 오랜 역사, 상업화 등으로 유럽리그가 K-리그보다 재미있는 것도, 유럽에서 뛰는 선수들의 기량이 우수한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K-리그가 유럽리그의 상비군은 아니다. K-리그에도 땀과 눈물의 드라마가 있다. 아직 역사가 길지 않고, 상업적으로 덜 포장됐을 뿐이다. K-리거들이 유럽파의 대체요원으로 치부되는 차별적 대우를 받아야 할 이유는 어디에도 없다.

대표팀 운영은 일반 축구 클럽과 다르다. 클럽은 매일 함께 훈련하며 호흡을 맞춘다. 대표팀에는 불가능한 일이다. 또 클럽은 리그에서 좋은 성적을 목표로 상대에 따라 선발요원을 바꿀 수 있다.

하지만 대표팀은 매 경기 준비된 최고의 경기력을 보여 줘야 할 국민에 대한 의무가 있다.

그리고 평가전은 최고의 경기력을 만들어 내기 위한 과정이며 훈련이다. 훈련에서 함께 뛰며 경기력 향상에 기여하지 않은 선수를 그저 유럽파이기 때문에 ‘프리라이더’로 인정해 주는 것은 옳지 않다. 박지성은 ‘브라질월드컵 본선을 앞두고 간곡한 호출이 오면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그 자리는 거기까지 가기 위해 땀 흘리고 노력한 선수들이 누려야 할 몫”이라고 못박았다.

가슴에 태극마크를 다는 영광을 거부할 선수는 아무도 없다. 차두리는 “선수 한명 한명 모두 대표팀을 위해서 뛸 수 있다는 것을 영광으로 생각한다.”면서 “나는 지금도 언제든 대표팀이 부르면 달려갈 것이다. 그건 나뿐만이 아니라 모든 선수가 마찬가지 일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래서 선수들과 대표팀 스태프 사이의 솔직한 소통이 필요한 것이다. 선수들은 미미한 수준의 부상 징후도 숨기지 말아야 하고, 스태프는 선수들이 말하지 않는 부분까지 꼼꼼하게 관리해야 한다. 그래야 영광의 순간을 더 오래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장형우기자 zangzak@seoul.co.kr
2011-02-16 2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