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패럴림픽 D-8
올림픽 운영 인력 규모만 줄여장애 유형별로 세부 종목 많아
휠체어컬링, 스위핑 없어 박진감
스키, 비장애인 가이드도 메달
2000년 시드니 협약 뒤 올림픽과 장애인올림픽(패럴림픽)은 한 도시에서 열리고 있다. 일부에선 패럴림픽을 먼저 치른 뒤 올림픽을 치르는 게 낫다고 주장하지만 여전히 올림픽 폐막 2주 뒤 패럴림픽이 막을 올린다.
먼저 주최가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로 나뉘지만 2018 평창동계올림픽·패럴림픽 조직위원회 주관이다. 조직위 산하 패럴림픽국 아래 패럴림픽통합부가 있고 통합조정, 지원관리, 접근성증진 세 팀뿐이었는데 3일까지 ‘전환은 최소화, 통합은 최대화’를 모토로 조직 체계를 전환한다. 운영 인력도 올림픽 때 5만 5720명에서 2만 9066명으로 줄어든다. 동일 인력이 두 대회를 치른다는 게 원칙이다.
선수단 규모는 올림픽의 절반 정도다. 올림픽에는 92개국 2920여명이 참가했는데 이번엔 49개국 선수 570명과 임원 900여명이 참여한다. 평창과 강릉 선수촌으로 나눠 수용했던 것과 달리 선수단은 모두 평창선수촌에 수용된다.
15종목 102세부종목이었던 올림픽과 달리 패럴림픽은 6종목 80세부종목이다. 평창 알펜시아에서 크로스컨트리스키와 바이애슬론, 정선 알파인경기장에서 알파인스키와 스노보드, 강릉 하키센터에서 아이스하키, 강릉 아이스아레나에서 휠체어컬링이 열린다.
입식, 좌식, 시각 식으로 장애 유형이 다른 세부종목이 많다. 올림픽 종목 수의 3분의1인데 세부종목엔 큰 차이가 없는 이유다. 대회를 앞두고 IPC에선 장애 등급을 엄격히 따져 대회 내내 이슈가 될 것으로 보인다.
올림픽 때 큰 인기를 끈 컬링도 휠체어컬링으로 만난다. 여자 선수가 1명 이상 포함돼야 한다. 휠체어 이용으로 안전 문제가 있을 수 있어 스위핑 동작을 볼 수 없다. 정확히 스톤을 던져야 해 되레 박진감이 넘친다. 아이스하키에도 여자 선수가 뛸 수 있는데 실제로 뛰는 경기를 보긴 쉽지 않다.
다리에 의존하지 않고 팔 힘만으로 경기하는 점 때문에 바이애슬론은 15㎞, 크로스컨트리스키는 20㎞로 거리를 제한한다. 스노보드에만 장애 등급이 세분된다. 알파인과 크로스컨트리스키에서 시각장애인 선수를 비장애인 가이드가 이끌어 함께 메달을 따는 점도 이채롭다.
조직위는 선수단 수송에 1765대의 버스를 투입한다. 휠체어에 앉은 채 탑승하는 저상버스 44대, 휠체어 리프트가 달린 버스 46대와 미니밴 139대가 포함된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2018-03-01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