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뜁시다! 넘버원 스포츠] ‘패러글라이딩 여왕’ 꿈꾸는 김현희
패러글라이딩 국가대표 김현희
패러글라이딩 국가대표 김현희(40·진주 스포츠클럽)가 운동에 임하는 자세는 남다르다. 대학에서 음악을 전공하고 바이올린 강습 선생님으로 지내던 김현희는 2006년에 갑자기 패러글라이딩으로 방향을 틀었다. 엘리트 운동선수치고는 적지 않은 나이인 27세 때의 일이다. 올림픽은 물론이고 심지어 전국체전에도 포함되지 않을 정도로 비인기 종목이었지만 크게 개의치 않았다. 위급 상황이 발생해 급히 낙하산을 편 적이 여태까지 4~5번 될 정도로 위험한 면도 있지만 그녀가 패러글라이딩을 선택하는 데에는 ‘내가 좋아한다’는 것 이외에 많은 이유가 필요하지 않았다.
김현희는 “강원 평창군에 있는 활공장에서 처음 패러글라이딩을 탔다. 발을 뗄 때 소리 지르면서 난리를 쳤다”며 “하지만 높이 올라가서 보니 세상을 다 얻은 기분이었다. 작게 보이는 세상이 다 만만하게 느껴졌다”고 되돌아봤다. 이어 “처음 경험한 뒤로 선수를 해야겠다는 마음을 먹고 거의 매주 평창에 갔다. 패러글라이딩만으로 먹고살기 힘들어서 바이올린 강사를 겸업하다가 2015년쯤에야 선수만 전업으로 하고 있다. 걱정하실까 봐 부모님에게 7년 동안 이야기를 안 했다. 지금도 아버지는 ‘이제 그만할 때 되지 않았느냐’고 말한다”며 웃었다.
적지 않은 나이에 뛰어들었지만 현재는 당당히 태극마크를 가슴에 달고 있다. 2018 네팔 패러글라이딩 정밀 착륙 월드컵에서는 여자부 1위에 오르기도 됐다. 한국 여자 패러글라이딩 정밀 착륙 선수가 월드컵에서 우승을 차지한 것은 2017년 강인숙에 이어 김현희가 역대 두 번째다.
김현희는 “한국 선수 중 나홀로 대회에 출전하다 보면 혹시라도 사고를 당했을 때 대처해줄 사람이 없다. 환경도 많이 다르다 보니 소심해진다. 실력을 100% 발휘해야 하는데 그렇게 못 하고 올 때가 많다”며 “다행히 네팔은 가까운 편이라서 한국 선수들이 많이 출전했다. 아무래도 조금 더 편했던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기본 세팅 장비가 1000만원에다가 500만원짜리 날개는 2년에 한 번씩은 바꿔야 한다. 거기에다 중간에 새 장비가 나오면 선수들은 욕심을 낼 수밖에 없다”며 “외국 대회에 나가면 경비로 300만원정도는 쓰게 된다. 기업이나 협회에서의 지원이 거의 없기 때문에 모든 수입을 선수 생활하는 데에 써야 한다. 저축을 할 수가 없다”고 덧붙였다.
김현희가 2016년 3월 네팔에서 열린 패러글라이딩 프레월드컵 XC부문 여자부 1위를 차지한 뒤 환한 표정으로 태극기를 펼쳐 보이고 있다. 아래 사진은 김현희가 지난해 12월 29일부터 지난 4일까지 대만에서 열렸던 타이완 PGXC오픈 대회 도중 이륙을 준비하고 있는 모습.
네팔 프레월드컵·타이완 PGXC 대회 조직위 제공
네팔 프레월드컵·타이완 PGXC 대회 조직위 제공
김현희는 “진주 스포츠클럽에서 국내 훈련이나 외국 대회 출전 경비 등을 도와준다”며 “너무 비인기 종목인데도 도움을 받을 수 있어서 감사하다”고 말했다. 그는 “잘 모르는 사람에게 내가 패러글라이딩 국가대표라고 하면 ‘그거 낙하산 아니냐’며 헷갈려하거나 ‘패러글라이딩도 국가대표가 있느냐’고 반문할 때가 많다”며 “서운하기도 하고 반성하게도 된다. 열심히 해서 패러글라이딩을 많이 알리고 싶다”고 강조했다.
어떤 선수가 되고 싶냐는 물음에 ‘한 분야에서 최고가 되고 싶어 도전했다’던 초심을 떠올리며 당찬 목표를 밝혔다. “일본의 히라키 게이코는 56세인데도 패러글라이딩 선수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어요. 저도 50대까지 선수로 뛰고 싶네요. 한국 선수 남녀 통틀어 아직 세계선수권에서 우승한 사람이 없는데 입상하게 되면 너무 좋을 것 같습니다!” 진주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19-02-01 3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