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구·수중발레 중 바닥에 발 대면 안 돼요

수구·수중발레 중 바닥에 발 대면 안 돼요

최병규 기자
입력 2019-06-23 18:14
업데이트 2019-06-24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광주세계수영선수권 종목 이색 규정

수구, 두 손 동시에 공 잡으면 반칙
오픈워터, 경기 도중 음료 섭취 가능


다음달 12일 ‘빛고을’ 광주에서 개막하는 국제수영연맹(FINA) 세계수영선수권대회를 제대로 관전하려면 6개 종목의 특이한 규정과 벌칙 상식을 알아 두는 게 필요하다.

23일 FINA에 따르면 ‘수중 핸드볼’인 수구는 6개 종목 중 유일한 구기종목으로 각각 7명으로 구성된 두 팀이 마치 돌고래 떼처럼 격렬하게 승부를 겨루는 종목이다. 손을 이용해 상대의 골대에 공을 던져 넣는 방식으로 핸드볼과 비슷하지만 수심 1.8m의 경기장 바닥에 발이 닿으면 안 된다. 경기 내내 몸을 물에 띄울 수 있는 수영 기술이 접목돼야 하며 체력이 버텨 줘야 하는 건 말할 것도 없다.

또 골키퍼를 제외하고 두 손으로 동시에 공을 잡는 것도 금지돼 있다. 몸에 미끄러운 물질을 바를 수 없으며 손으로 상대방에게 물을 뿌리면 파울이 선언된다. 방어할 때는 볼을 가진 선수만 접촉할 수 있으며 다른 선수의 진행을 방해해서는 안 된다. 파울은 ‘중반칙’과 ‘경반칙’ 두 종류가 있다. 중반칙은 상대를 때리거나 물속으로 가라앉힐 경우 주어지며 1분간 퇴장을 당하고 3회 반칙하면 경기에서 빠져야 한다. 경반칙은 두 손으로 동시에 공을 잡거나, 물을 끼얹는 등의 비교적 가벼운 위반을 범할 때이며, 이때는 상대편에 ‘자유투’(프리 드로)가 부여된다.

‘수중발레’로 불리는 아티스틱스위밍은 3m 이상의 수심에서 펼치는 경기로 역시 바닥에 발이 닿으면 안 된다. 3~5분 가까이 물속에 있어야 하며 2명 이상의 출전 종목은 동작이 통일돼야 한다. ‘물속의 마라톤’으로 불리는 오픈워터 스위밍은 5~25㎞를 질주하기 때문에 육상의 마라톤처럼 음료 등의 섭취도 가능하다.

최병규 전문기자 cbk91065@seoul.co.kr

2019-06-24 2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