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빙상대회 개최 못하는 평창올림픽 시설

국제빙상대회 개최 못하는 평창올림픽 시설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19-06-30 17:39
업데이트 2019-06-30 17: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강릉아이스아레나 실내경기장 리모델링

2018 평창올림픽 피겨스케이팅·쇼트트랙 경기가 열렸던 강릉아이스아레나의 올림픽 당시 사진. 연합뉴스
2018 평창올림픽 피겨스케이팅·쇼트트랙 경기가 열렸던 강릉아이스아레나의 올림픽 당시 사진. 연합뉴스
대한빙상경기연맹이 2020년 국제빙상연맹(ISU) 피겨스케이팅 4대륙 선수권대회 유치에 성공했지만 정작 평창올림픽 시설을 사용할 수 없어 아쉬움을 남기고 있다.

빙상연맹은 “최근 ISU는 현장 실사를 진행한 뒤 4대륙 선수권대회 유치를 최종 승인했다”면서 “내년 2월 국내서 대회가 열린다”고 밝혔다. 피겨스케이팅 4대륙 선수권대회는 유럽을 제외한 아시아, 아메리카, 오세아니아, 아프리카 대륙 선수들이 출전하는 국제대회다.

연맹은 또한 2020 ISU 쇼트트랙 세계선수권 대회 유치 가승인도 받은 상태다. 이변이 없는 한 대회를 유치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대회는 올림픽 다음으로 큰 쇼트트랙 국제대회다.

당초 연맹은 평창올림픽 피겨스케이팅 강릉아이스아레나 활용 방안을 모색했다. 그러나 강릉시가 지난 4월 약 8억여원을 들여 리모델링 공사를 진행해 현재는 실내경기장으로 변신했다. 이곳에선 동계스포츠가 아닌 콘서트 등 각종 문화 행사가 열리고 있다. 대회는 서울 목동아이스링크장에서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

강릉시 관계자는 “강릉아이스아레나를 빙상장으로 쓰기엔 유지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가고 활용 폭도 좁다”면서 “실내체육관으로 리모델링한 건 어쩔 수 없는 조처였다”고 말했다. 강릉아이스아레나에서 빙상대회를 개최하려면 마룻바닥을 뜯고 다시 아이스링크를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비용 문제가 발목을 잡고 있다. 강릉시 관계자는 “10억원 이상의 비용이 소모될 것”이라며 “현실적으로 중앙 정부의 지원 없이는 강릉아이스아레나에서 빙상대회를 열기 힘들다”고 밝혔다.

류재민 기자 phoem@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