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병규 전문기자의 골프는 과학이다] (16) 드라이버 반발계수

[최병규 전문기자의 골프는 과학이다] (16) 드라이버 반발계수

최병규 기자
입력 2015-07-28 23:32
수정 2015-07-29 01: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수치 클수록 비거리 증가… 0.83 넘으면 비공인 클럽

‘0.83’은 드라이버 반발계수(Coefficient of Restitution·COR)의 한계치다. 1998년 세계 골프규칙을 관장하는 미국골프협회(USGA)와 영국왕실골프협회(R&A)가 규정했다. 이 숫자를 넘어가면 비공인 드라이버다. 아마추어는 관계없지만 골프대회에 나서는 프로 선수의 골프채 반발계수가 이를 초과하면 안 된다.

반발계수의 사전적 의미는 ‘두 물체가 충돌할 때 튀어 나가는 정도를 나타낸 값’이다. 이를 골프에 대입하면, 드라이버가 갖고 있는 운동에너지가 부딪치는 골프공에 전달되는 충돌 전후의 비율을 수치로 나타낸 값이다.

구하는 방법은 두 가지다. 드라이버와 1m 떨어진 곳에서 공기대포를 이용해 공을 시속 100마일의 속도로 쏴 헤드를 맞고 나오는 공의 속도를 센서로 재는 것이다. 또 하나는 역시 1m 높이에서 골프공을 낙하시킨 뒤 튀어 오르는 높이로 측정한다. 반발계수가 0.830이란 것은 드라이버와 부딪친 공이 83㎝ 튀어 오른다는 뜻이다.

드라이버의 반발계수는 비거리를 목숨처럼 여기는 골퍼들에겐 대단히 중요하다. 통상적으로 반발계수가 0.01 커질 때 비거리는 2야드 늘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발계수가 0.830에서 0.930으로 커질 경우 이론적으로 비거리는 무려 20야드가량 늘어나는 셈이다. 전문가들은 반발계수의 한계를 0.930 정도로 보고 있다.

공인 드라이버의 반발계수는 0.825 안팎, 페어웨이 우드는 0.750~0.770 사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초박형의 특수합금을 적용시킨 비공인 드라이버들이 홍수를 이루고 있다. 물론 반발계수는 한계치를 웃돌 정도로 높아져 ‘고반발’을 넘어 ‘극초반발’, ‘극극초반발’ 등의 용어까지 서슴지 않고 써 가며 ‘짧순이’들을 유혹하고 있다. 이들에게는 분명 ‘마법의 지팡이’지만 반발계수를 무시한 이런 비공인 드라이버에 대한 시선은 그리 곱지 않다. 페이스를 워낙 얇게 가공하다 보니 깨지기 쉽고, 그만큼 수명이 짧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20~30야드는 더 나간다면 앞뒤를 가리지 않고 덤벼드는 골퍼를 겨냥하다 보니 스윙의 메커니즘을 통째로 무시한 ‘무법자’의 얼굴을 가졌다는 시각도 있다.

cbk91065@seoul.co.kr
2015-07-29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애도기간 중 연예인들의 SNS 활동 어떻게 생각하나요?
제주항공 참사로 179명의 승객이 사망한 가운데 정부는 지난 1월 4일까지를 ‘국가애도기간’으로 지정했습니다. 해당기간에 자신의 SNS에 근황사진 등을 올린 일부 연예인들이 애도기간에 맞지 않는 경솔한 행동이라고 대중의 지탄을 받기도 했습니다. 이에 대한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애도기간에 이런 행동은 경솔하다고 생각한다.
표현의 자유고 애도를 강요하는 것은 안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